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헌법 제23조의 적용과 해석에 관한 헌재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경계이론과 분리이론의 재소환)- 헌법재판소 2021. 4. 29. 선고 2019헌바444, 2020헌바135·141·181(병합) 결정에 대한 평석을 겸하여 - (Critical review of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regarding ‘Attribution of public land under the former Land Zoning Project Consolidation Act’- Recall of boundary theory and separation theory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3.11
34P 미리보기
헌법 제23조의 적용과 해석에 관한 헌재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경계이론과 분리이론의 재소환)- 헌법재판소 2021. 4. 29. 선고 2019헌바444, 2020헌바135·141·181(병합) 결정에 대한 평석을 겸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학연구 / 24권 / 4호 / 123 ~ 156페이지
    · 저자명 : 성중탁

    초록

    최근 헌법재판소는 2021. 4. 29.자 2019헌바444, 2020헌바135·141·181(병합) 위헌소원 사건에서 구 토지구획정리사업법 제63조에 따라 국가 등이 환지계획에서 학교교지로 지정된 토지를 취득하는 것은 헌법 제23조 제3항에 규정된 ‘공공필요에 의한 재산권의 수용’에 해당하므로 법률에 따라 정당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청구인의 주장에 대해, 귀속조항에 따른 학교교지의 소유권 귀속은 헌법 제23조 제3항의 공용수용에 해당하지 않고, 유상조항이 수용에 대한 보상의 의미를 가지는 것도 아니라고 판단하였다. 위 헌재 결정을 계기로 우리 헌법상 재산권의 규범구조와 헌법재판소의 입장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우리 헌재가 재산권의 존속보장을 강조하는 의미에서 도입한 독일의 분리이론이 실무상 가지는 한계를 논한 후, 이를 토대로 국민의 재산권을 보호하는데 합당한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우리 헌법재판소는 과거 개발제한구역사건도 그렇고 위 대상 결정에서도 개인의 사유재산을 사실상 강제로 취득하는 재산권의 중대한 제한(침해) 행위에 대해 학교 부지 마련이라는 공익상의 이유로 불가피하게 필요하므로 헌법 제23조 제3항이 규정하고 있는 공용수용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무엇보다 헌재는 독일의 수용유사적 침해도 인정하지 아니하여 결국 국민은 국회의 보상 입법을 기다려 보상청구를 할 수밖에 없게 된 상황이다. 이에 존속보장 강조라는 외관과 달리 실제로는 가치보상조차 제대로 인정하지 않고 있는 우리 헌법재판소의 어정쩡한 논리가 정리되고, 국민의 재산권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그 대안으로 독일의 수용유사침해이론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보상규정이 없는 경우 보상입법을 통하는 것이 맞지만 입법자의 입법의무 해태, 국가배상법상 무과실 책임이 법제화되기 전까지는 수용유사침해법리를 적극 활용하여 국민의 권익구제의 사각지대를 메꾸는 것이 현실적으로 합당한 것이다.

    영어초록

    Recently,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on April 29, 2021, in the unconstitutionality petition case of 2019 Heonba 444 and 2020 Heonba 135·141·181 (merger), that the state, etc., in accordance with Article 63 of the former Land Readjustment Project Act, granted land designated as school land in the replotting plan. In response to the claimant's argument that fair compensation should b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law because acquisition constitutes ‘acquisition of property rights for public necessity’ as stipulated in Article 23, Paragraph 3 of the Constitution, the attribution of ownership of school land according to the attribution clause is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 It was judged that it did not constitute public expropriation under Article 23, Paragraph 3, and that the paid clause did not mean compensation for expropria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in the above decision as well as in the past development restriction zone designation case that it was inevitably necessary for the public interest of preparing a school site against a serious restriction (infringement) of property rights that effectively forcibly acquires an individual's private property, and therefore, Article 23 of the Constitution. Since it was determined that it did not fall under the public expropriation provisions stipulated in Article 3, it denied the guarantee of the continuation of property rights and at the same time did not make a proper judgment as to whether fair compensation for value was made. Above all, the Constitutional Court did not adopt the expropriation-like infringement theory of the German Federal Supreme Court, so the public was ultimately forced to wait indefinitely for compensation legislation from the National Assembly to file a claim for compensation. Accordingly, in the next issue, there is a need to sort out the ambiguous logic of our Constitutional Court, which, contrary to its appearance of emphasizing preservation of existence, is not even properly recognizing value compensation, and provide means to properly protect the people's property rights. As an alternative,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Germany's expropriation-like infringement theory into our legal system and practice. If there are no compensation provisions, it is desirable to pass compensation legislation, but until the legislator's neglect of constitutional duty and no-fault liability under the National Compensation Act are acknowledged, it is better to actively utilize the expropriation-like infringement law in practice to fill the blind spot in redressing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people. It is realistically reasona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