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7세기 일본 奈良縣 櫻井지역의 이른바 磚槨式石室 검토 (A Study on the so-called a Brick-type Stone Chamber in Sakurai area, Japan in the 7th Centur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0.02
33P 미리보기
7세기 일본 奈良縣 櫻井지역의 이른바 磚槨式石室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연구 / 71호 / 23 ~ 55페이지
    · 저자명 : 김규운

    초록

    고대 일본열도를 상징하는 전방후원분은 7세기를 전후하는 시기에 당시 중심지역인 畿內지역부터 소멸하기 시작한다. 이후 횡구식석곽 등의 새로운 묘제가 주요 매장주체부로서 자리를 잡게 되는 한편, 奈良縣 櫻井지역에는 다른 지역에서는 보이지 않는 석재를 전돌과 같이 가공하여 구축하는 이른바磚槨式石室이라고 하는 독특한 매장주체부가 축조된다.
    이 전곽식석실에 대해 속성분류 등의 형식학적 분석을 통해, ⅠA, ⅠB, Ⅱ, Ⅲ, Ⅳ유형으로 설정하고 그 특징을 명확하게 하였다. 더욱이 각각의 유형의 연대에 대해 형식학적 변화와 출토토기 분석을 통해 7세기 전엽부터 7세기 중엽에 걸쳐 축조되는 것임을 밝혔다.
    그리고 전곽식석실의 기원과 피장자 문제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전곽식석실과의 비교대상이 되는 백제의 전실분과 송산리형석실과는 시기적으로 전혀 겹치지 않는다. 또한 전곽식석실에는 실제로 하나의 ‘塼’도 사용되지 않는다. 게다가 석실의 전체적인 형태로 보아 백제의 전실분, 혹은 송산리형석실과 완전하게 같은 것도 단 한기도 존재하지 않고, 오히려 평면형태는 당시의 일본열도 중심지인 飛鳥와 河內지역에 분포하는 횡구식석곽과 유사한 점에서, 전곽식석실은 백제의 전실분, 이주민과는 전혀 관계없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마지막으로 전곽식석실은 석재와 분포, 축조연대 등을 통해, 榛原石이라고 하는 독특한 석재에 기인하여 축조된 것으로 상정하였다.

    영어초록

    The front-end patronage symbolizing the ancient Japanese archipelago began to dissipate in the 7th century in the then central region of kinai. Later, a new tomb, such as the Hoenggu Sikkok, will be established as the main storekeeper, while a unique burial body called the so-called "a Brick-type stone chamber" which is constructed in Sakurai area by processing stone materials that are not visible in other areas like bricks, will be built.
    The formal analysis of this Brick-type stone chamber, such as attribute classification, has been established as IA, IB, II, III and IV types and its features have been clarified. Moreover, formal changes and earthenware analysis of each type of regiment revealed that it was built from the beginning of the 7th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And the origin and the subject matter of Brick-type stone chamber was also reviewed. In conclusion, it does not overlap at all with Baekje’s Brick-type stone chamber and Songsan-ri’s chamber, which are subject to comparison with the former chamber. Also, not a single brick is actually used in the Brick-type stone chamber. Moreover, in the overall form of the stone chamber, there is not a single cold snap that is completely the same as the former chamber of Baekje or the Songsan-ri stone chamber, and in fact, the entire chamber has nothing to do with a stone chamber of Baekje, given that the plane is similar in its shape to the transverse sphere of the central Japanese archipelago at that existed in the center of asuka and kawachi area.
    Finally, the chamber was assumed to have been built due to a unique stone structure called ‘haibaraisi’, through its distribution and constru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