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선(神仙)’을 지명소(地名素)로 하는 바위명의 유형과 입지특성 (Types and Site Characteristics of Rocks with Sinsun Relevant Place Name Morpheme)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1.09
17P 미리보기
‘신선(神仙)’을 지명소(地名素)로 하는 바위명의 유형과 입지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9권 / 3호 / 61 ~ 77페이지
    · 저자명 : 노재현, 박주성, 심우경

    초록

    본 연구는 문헌 및 인터넷조사를 중심으로 민간어원적으로 신선사상의 흔적이 장소와 결합하여 고착화된 ‘신선[仙]’ 관련 바위 지명어에 주목하였다. 특히 신선 지명소를 포함한 대표적 지명의 유형을 분류하는 한편, 각 신선 지명별 입지 및 장소 특성을 개관함으로써 바위 지명에 남겨진 신선과 관련된 문화의 흔적을 조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선 관련 바위지명 중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지명은 신선바위(52개소)였으며, 이어서 신선봉(38개소), 신선대(31개소) 등의 지명이 압도적으로 많이 발견되었다. 그밖에 강선대(12개소), 선유대(10개소), 사선대(5개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 신선대는 ‘대(臺)’라는 대상 자체의 경관성도 뛰어나지만 원경의 부감경관(俯瞰景觀) 조망이 탁월함 곳에 입지하고 있다.
    3. 신선봉의 위치는 해당 산의 최고봉 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봉(峰)의 의미에는 ‘하늘과 맞닿아 있는’ 그리고 ‘우러러 올려보는’ 등의 숭배의 개념이 내포된 공간이다.
    4. 신선봉에는 신선바위와 같이 ‘신선 바둑’ 또는 ‘신선 하강’과 관련된 전설을 잉태하고 있는 지명도 상당수 있었는데 ‘신선과 바둑’은 신선 지명 바위의 민간어원설을 이끄는 매우 중요한 모티프가 되고 있다. 그리고 신선대와 함께 신선바위는 내륙은 물론 해양경관이 수려한 바닷가 암상 위에도 다수 존재하고 있다.
    5. 신선 바위가 위치한 고도 분석 결과, 신선봉-신선대-신선바위 순으로 ‘해당 위치’뿐만 아니라 ‘지명이 속한 최고봉의 높이’ 역시 동일한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선봉이 산의 정상에 위치하거나 단일 산봉의 명칭으로 불리고 있음에 기인된다. 이에 비해 신선대는 대부분 파노라믹한 원경이 부감되는 곳으로, 정상은 아니더라도 신선경(神仙境)을 이루는 듯한 조망이 펼쳐지는 곳에 입지하였다. 그러나 신선바위는 높은 곳에 위치한 경우와 높지는 않지만 인가에서 멀리 떨어지지는 않았지만 암경(巖景)이 수려하고 계곡이 잘 발달된 곳에 입지하고 있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보아 고도 보다는 장소성에 기인된 지명임을 알 수 있다.
    6. 신선지명을 보이는 곳의 암경적 특성은 숭배 대상의 시각적 존재감이 인정되고, 숭배 주체의 태도와도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숭배대상과 숭배주체의 소통방식과 깊이 관련되고 있는데 이는 신선 바위지명의 민간어원설을 이끄는 주요 사유인 것으로 보인다.
    7. 신선사상이 시대 변천에 따라 점차 가시적이며 현실적 차원으로 우리 곁에서 구현되어 왔음을 가장 여실이 보여주는 대상이 바로 지명으로 표상(表象)되는 ‘신선[仙] 바위’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d on relevant rock names related to Sinsun(神仙) which had been settled as Taoist traces were combined with places. While interpreting major features of Sundoism relevant rocks, it also discussed types and places of rocks reflected in their names by considering distinct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characters that ancestors viewed through the rocks or on the rocks. Conclusion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Among the rock names related to Sinsun, the most frequently discovered one was Sinsunbawi(52) and followed by Sinsunbong(神仙峰: 38), Sinsundae(神仙臺: 31). Other than these, there were Gangsundae(降仙臺: 12), Sunyoodae(仙遊臺: 10) and Sasundae(四仙臺: 5).
    2. In the name of Sinsundae, ‘Dae(臺)’ ascertains that it was located in greatly superb place in the aspects of viewpoint and appreciation where landscape superiority and overlook scenery were fair and outstanding.
    3. Sinsunbong was named for a peak of mountain. At the same time, it implied a notion of worship with images of ‘merging with sky’ or ‘looking up.’ Most of time, Sinsunbong indicated the tallest rock in the mountain chain.
    4. A significant number of Sinsunbong had names where legends of Sinsun’s Go game or descent were originated from. It shows that ‘Sinsun(仙) and Go game’ used to be very important motives for folk etymology of Sinsun related rocks. Along with the Sinsundae, a number of Sinsunbawi were also turned out to exist in land and ocean with excellent marine view.
    5. According to analysis of their altitudes and heights of the peaks where the rocks belong to, Sinsunbong, Sinsundae and Sinsunbawi were in order. It might indicate that the rocks were located on top of mountain or that Sinsunbong represented the mountain itself. Compared to this, Sinsundae was located in where distant panoramic views were overlooked. It was not necessarily to be in peak but in where with a great view like Taoist world. On the other hand, Sinsunbawi was located in where has fine scenery and great valley not so far from villages, which proved its name had been influenced by place feature not altitude.
    6. Feature of rock with Sinsun related name is to comprise visual stability of worship object with close linkage to attitude of worshiper. Considering its deep connection with communicative method of worship object and worshiper, seemingly it was main factor to lead folk etymology of rocks with Sinsun related names.
    7. Rock is an object with the greatest implication of Sinsun imagination and Sinsun rocks show most clearly the fact that Taoism, which used to be considered as inaccessible, had been actualized in a visual and realistic manner with the change of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