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책임승계인의 신뢰보호와 상태책임의 한계 - 헌법재판소 2012. 8. 23.자 2010헌바28 결정; 2012. 8. 23.자 2010헌바167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Vertrauensschutz der Einzelrechtsnachfolger und verfassungsrechtliche Grenzen der Zustandshaftung - Verfassungsgericht, Beschlüsse vom 23. 08. 2012 - heonba 167, heonba 28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3.02
30P 미리보기
책임승계인의 신뢰보호와 상태책임의 한계 - 헌법재판소 2012. 8. 23.자 2010헌바28 결정; 2012. 8. 23.자 2010헌바167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학연구 / 14권 / 1호 / 569 ~ 598페이지
    · 저자명 : 김현준

    초록

    2012. 8. 23. 헌법재판소가 토양환경보전법의 오염원인자 규정 등에 대하여 내린 2개의 결정은 토양정화책임의 소급효, 신뢰보호, 오염토양의 소유자⋅점유자⋅운영자의 상태책임의 근거와 한계에 관한 쟁점들을 검토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
    먼저, 오염토양의 양수인의 책임에 관한 규정인 구 토양환경보전법 제10조의3 제2항 제3호 전단의 규정은 이른바 부진정소급효에 관한 것이어서 헌법 제13조2항의 소급입법금지에는 위배되진 않는다고 보면서, 신뢰보호원칙에는 반하는 위헌성이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소급효와 신뢰보호의 문제는 별도로 생각할 수 없는 문제이다. 또한, 대상판례(I)은 폐기물에 대한 공법적 규제가 시작된 1970년대 이후에는 토양오염에 대해서 공법상의 책임을 부담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고 보는데, 그렇다면 1970년대 이후 2002. 1. 1. 동 규정이 신설되기까지의 양수인의 신뢰는 보호할 만한 것인지에 대하여 애매한 판단을 했다는 지적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양수인의 신뢰보호가 문제된 만큼 공법상 책임의 승계문제에 대한 검토가 필요했는데, 대상판례에서는 이러한 점이 부족했다는 비판을 면할 수 없다.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즉 이 사안에서는 오염토양의 소유자·점유자·운영자의 책임은 상태책임으로서의 성질을 가진다. 이러한 상태책임의 근거와 한계는 본 문제의 핵심쟁점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상판례(II)가 이러한 상태책임규정과 양수인의 승계책임을 본질적으로 같은 것으로 보고, 상태책임규정의 경우 선의·무과실의 면책조항이 없음을 들어 비례원칙, 특히 최소침해성원칙에 반한다고 본 것은 타당하지 않다. 양자는 귀책근거가 다르므로 “본질적으로 같은 것은 같게, 본질적으로 다른 것은 다르게”라는 상대적 평등원칙에 충실한 것으로 위헌으로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최소침해성원칙은 ‘같은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 중’에서 기본권을 최소로 침해하는 작용을 선택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같은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이라는 점에 대한 검토 없이, 단지 최소침해수단에만 주안점을 둔 대상판례(II)는 비판의 여지가 있다.
    무제한의 부담 가능성이 비례원칙, 특히 법익균형성의 원칙에 반할 우려가 있다는 대상판례(II)의 지적은 원칙적으로 타당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합헌적 법률해석의 여지는 있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은 있으며, 헌법불합치결정이 내려진 상황에서는 비례성을 갖춘 내용으로 보완할 수도 있었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Das koreanische Verfassungsgericht hat in seinen zwei Beschlüssen vom 23. 8. 2012 über Vertrauensschutz der Nachfolger und Grenzen der Zustandshaftung im koreanischen Bodenschutzgesetz entschieden. Nach den Beschlüssen ist das Gesetz zwar grundsätzlich zulässig, da es nur unecht rückwirkend ist. Dabei gehe es aber um den Vertrauensschutz. Des weiteren sah das Verfassungsgericht die Sanierungshaftung der Einzelrechtsnachfolger gemäß § 10-3 (ii) des Gesetzes als unverhältmäßig an, da die Belastung der Zustandsverantwortlichen mit Sanierungskosten bis zur Höhe des Verkehrswertes erreichen kann und noch milderes Mittel gleicher Eignung nötig ist.
    Es ist aber nicht zu verkennen, dass die Natur der Bodensanierungshaftung die polizeiliche Verantwortlichkeit ist. Die Probleme über Vertrauensschutz und Zustandshaftung sollen in diesem Zusammenhang analysiert werden.
    Die unsere Regierung soll auf jeden Fall nach der Entscheidung des Verfassungsgerichts das Bodenschutzgesetz ändern. In Bezug auf Sanierungspflichten soll die Bedeutung der Bodensanierungshaftung als Polizeiverantwortlichkeit verdeutlicht werden, während das Gesetz Grundsätze des Vertrauensschutzes und der Verhältnismäßigkeit beachten wi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