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심근유래의 줄기세포 프라이밍 및 조직공학 기술에 의한 심혈관 재생전략 (Cell Priming and Tissue Engineering Strategies for Cardiovascular Regeneration Using Human Heart Tissue-Derived Cardiac Progenitor Cells (hCPCs))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8.09
8P 미리보기
심근유래의 줄기세포 프라이밍 및 조직공학 기술에 의한 심혈관 재생전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생물공학회
    · 수록지 정보 : KSBB Journal / 33권 / 3호 / 127 ~ 134페이지
    · 저자명 : 박지혜, 김희정, 정한나, 박혜리, 황혜원, 권상모

    초록

    The prevalence and mortality rate of cardiovascular disease continue to increase despite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and treatments. Stem cell therapy is a promising strategy to repair and/or regenerate damaged cardiac tissue. Cardiac progenitor cells may be stronger candidates than other stem cells for cardiac cell therapy. Cardiac progenitor cells (CPCs) residing in the heart (also referred to as cardiosphere-derived cells (CDCs) exert a therapeutic potential in repairing heart damage. Numerous studies have identified candidate CPC cell surface markers, including c-kit, stem cell antigen 1 (Sca1), and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α (PDGFRα).
    CPCs are capable of differentiating into multiple mature cardiac cell types, including cardiomyocytes (CM), smooth muscle cells (SMC), and endothelial cells (EC). Owing to their unique pluripotency, various pre-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are being conducted using cardiac progenitor cells to regenerate damaged heart tissues. However, poor stem cell survival and low engraftment efficiency underlie significant reductions in therapeutic efficacy. To overcome current limitations that reduce stem cell therapeutic efficacy, many methods have been implemented that aim to improve stem cell survival and engraftment.
    Recently, stem cell priming and tissue engineering technologies have been suggested to enhance stem cell therapeutic efficacy. It is possible to increase survival and engraftment of cardiac progenitor cells in injured cardiac tissue by cell priming and tissue engineering technologies before use. In this review, we provide an understanding of multiple therapeutic approaches including cell priming, scaffolds, tissue engineering, 3D printing techniques and clinical prospect for cardiovascular regeneration using patient-derived CPCs

    영어초록

    The prevalence and mortality rate of cardiovascular disease continue to increase despite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and treatments. Stem cell therapy is a promising strategy to repair and/or regenerate damaged cardiac tissue. Cardiac progenitor cells may be stronger candidates than other stem cells for cardiac cell therapy. Cardiac progenitor cells (CPCs) residing in the heart (also referred to as cardiosphere-derived cells (CDCs) exert a therapeutic potential in repairing heart damage. Numerous studies have identified candidate CPC cell surface markers, including c-kit, stem cell antigen 1 (Sca1), and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α (PDGFRα).
    CPCs are capable of differentiating into multiple mature cardiac cell types, including cardiomyocytes (CM), smooth muscle cells (SMC), and endothelial cells (EC). Owing to their unique pluripotency, various pre-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are being conducted using cardiac progenitor cells to regenerate damaged heart tissues. However, poor stem cell survival and low engraftment efficiency underlie significant reductions in therapeutic efficacy. To overcome current limitations that reduce stem cell therapeutic efficacy, many methods have been implemented that aim to improve stem cell survival and engraftment.
    Recently, stem cell priming and tissue engineering technologies have been suggested to enhance stem cell therapeutic efficacy. It is possible to increase survival and engraftment of cardiac progenitor cells in injured cardiac tissue by cell priming and tissue engineering technologies before use. In this review, we provide an understanding of multiple therapeutic approaches including cell priming, scaffolds, tissue engineering, 3D printing techniques and clinical prospect for cardiovascular regeneration using patient-derived CP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KSBB Journal”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