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사소송법과 형사소송법을 비교해서 검토해 본 기판력의 발현 형태와 효력 범위 (The revelation form and effect extent of res adjudicata examined in comparison civil procedure law and criminal procedure law)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6.06
33P 미리보기
민사소송법과 형사소송법을 비교해서 검토해 본 기판력의 발현 형태와 효력 범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형사소송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 8권 / 1호 / 141 ~ 173페이지
    · 저자명 : 김정한

    초록

    민사소송과 형사소송은 목적과 이념상의 차이 때문에 많은 법리적 차이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소송이라는 보편성과 권리보호, 법질서 유지, 진실발견, 소송경제 등의 공통의 이념들에서 발현되는 적지 아니한 공통점들이 발견되는 것도사실이다. 이러한 차이점과 공통점들을 잘 검토 분석해 보면 서로 참고할 수있는 적지 않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 글에서도 필자는 ①기판력의 발현형태에 대해 형사소송 뿐만 아니라 민사소송에서도, 본안판결/실체판결 뿐만아니라 소송판결/형식판결에서도 반복금지설로 통일하는 것이 적절하고, ②기판력의 물적 범위에 대해 민사소송에서는 너무 좁게 파악하여 분쟁의 1회적 해결에 문제점이 발생하고 반대로 형사소송에서는 너무 넓게 파악하여 형사사법정의 실현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민사소송에서는 소송물 개념을 좀더 실질적으로 파악한다든가 이유로만 판단되는 쟁점을 중간확인의 소로 유도하는 등의 방법으로 가급적 기판력이나 구속력의 범주로 끌어들이고 형사소송에서는공소사실 동일성의 판단기준을 정립하고 상습법의 법리를 재검토하며 명백히피고인에게 귀책이 있는 경우에는 기판력을 배제하는 제도의 창설을 고려할 수있으며, ③기판력의 시적 범위와 관련하여 형사소송에서도 민사소송과 같이 사실심 판결선고시가 아닌 사실심 변론종결시를 표준시로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해 보았다.
    지금까지 우리 소송법학계나 실무계는 형사소송과 민사소송으로 양분되어 연구나 입법 등에 있어서도 전혀 교류가 없었지만, 미국 등의 사례에서 보듯이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법규나 해석, 연구 등이 결코 적지 않다. 필자는 이글에서 기판력과 관련한 일부 테마만을 다루면서도 민사소송법과 형사소송법상호간에 참고 또는 도입할만한 법리가 적지 않음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 앞으로 이러한 방식의 연구가 여러 분야에서 시도되기를 바라본다.

    영어초록

    In civil procedure law and criminal procedure law, there are many disparities revealed from the differences of aim and idea. But in other hand there are many commons revealed from same idea such as procedure generality, the protection of right, maimtenance of order, discovery of truth, procedure economy. On examination and analysis, we can find many suggestions which we can refer each other. In this article, I examed the three. At first, to unify to ‘repetition prohibition theory’is more suitable in the revelation form of res adjudicata, civil procedure as well as criminal procedure, non merits judgment as well as merits judgment. At second, about the material extent of res adjudicata, in civil procedure it is too small, in criminal procedure it is too big. So we have to try to widen the extent of res adjudicata of civil procedure with the method of substantial grasping of the meaning of the object of a lawsuit and so on, to try to restrict the extent of res adjudicata of criminal procedure with the method of re-examination of legal principle of the habitual crime and so on. At third, about the time extent of res adjudicata, in criminal procedure too, not the time the adjudgment sentenced but the time the argument finished must be considered as the standard time of res adjudicata just like civil procedure.
    Till now, korean academic circles of procedure law and official circles are divided into criminal and civil procedure law, the tow group have no relationship in the research and the legislation. But just like the American case, there is big possibility of practical common use of law, construction, research and the others. I treat only one thema, revelation form and effect extent of res adjudicata, but I hope that the research of this type is attempted in various fie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