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이탈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상 탈북민의 법적 지위 - 현황과 개선방안 - (Act on the Protection and Settlement Support of North Korean Defector -Current Situations and Improvement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3.08
30P 미리보기
북한이탈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상 탈북민의 법적 지위 - 현황과 개선방안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20권 / 2호 / 297 ~ 326페이지
    · 저자명 : 이덕연

    초록

    탈북민의 수가 급증하면서 다양한 문제들이 누적되어 사회문제로 부각되어감에 따라 보호 또는 지원체계의 적확성과 실효성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하고, 실행프로그램을 보완 및 재정비하는 것이 긴절한 정책현안으로 제기되고 있다.
    탈북민지원법을 중심으로 기본적인 정착지원법제의 내용과 다양한 실행프로그램의 현황을 검토하고, 관련된 개별 법령상 특례규정의 내용을 추가로 검토한 후, 부분적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실적으로 정부의 공식적인 방침인 ‘전원수용원칙’과 달리 사실상 ‘선별수용원칙’의 핵심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탈북민지원법상의 ‘직접신청의 원칙’이 타당한 것인지, 현실적인 한계 내에서라도 보다 유연한 합헌적인 대안이 없는지 등에 관해서 전향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입국 후 초기적응단계에서 ‘하나원’에서의 보호와 교육서비스를 비롯하여 정착지원금, 취업장려금 등 각종 경제적인 지원프로그램의 내용과 수준은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보이고, 특히 ‘수혜적 보호’에서 자립과 자활에 초점을 맞추어 ‘자율적응’을 지원하는 방침으로 선회한 것은 적확한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전체적으로 탈북민들이 직장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기초생활수급자로 생활하는 등 정착기반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나, 기타 취업장려금 등 개별적인 지원프로그램의 실효성이 떨어지는 점, 기타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의 프로그램과 ‘하나센터’의 ‘정착도우미’ 서비스가 중복되어 효율적으로 예산이 운용되지 못하고 있는 점 등 세부적인 문제점들에 대한 비판과 지적은 적극적으로 검토되어 제도 및 운용의 개선방안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정착지원 프로그램의 설계단계에서부터 실행에 이르는 전 과정에 민간참여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 탈북자의 특수한 신분 때문에 정부가 주관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피하기는 하지만, 적어도 주거지보호의 단계에서는 정부와 민간의 상호보완적인 관계가 설정되어야 한다. 다양한 민간단체의 보조적인 역할을 넘어서는 적극적인 참여가 없이는 특성화 및 전문화된 맞춤형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하나원’에서의 교육과정도 외부 사회와 차단된 이른바 ‘폐쇄형의 집체교육’ 대신에 ‘개방형 교육’의 방식으로 전환해나가고, 적어도 가능한 한 남한 주민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현장 견학프로그램을 더욱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거주지보호단계에서 탈북민들과 남한 주민들이 ‘친근한 이웃’으로 만나서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는 거점으로 ‘사회복지관’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 등도 통일부나 지방자치단체장 등 관련 정책 당국자가 유의해야 할 사항들이다.

    영어초록

    As rapidly increased the number of North Korea defector, various problems are cumulative and it is emerged as social problems. So reconsiderating fundamentally cogency and effectiveness of protection or support system, redeeming and rearranging of the execution programs are urgent and desperately needed policy issues.
    After reviewing the contents of basic settlement support legislation, mainly 「North Korea defector Assistance Act」,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executable program and additionally contents of special regulations of related individual statutory, it will be suggested improvements partially. Whether ‘the principle of direct applic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Assistance Act」 that is used as the key means of ‘the principle of selective acceptance’ in reality, unlike ‘the principle of all acceptance’ of the government's official policy, is reasonable and there is no constitutional alternative more flexible even in the practical limit, progressive review is necessary.
    After entering South Korea, the content and level of the various financial support programs in the initial adaptation phase seems to be generally good. In particular, changing the policy to support self-adaptive from ‘beneficial protection’, with a focus on self-reliance and self-sufficiency, is precise. But criticism and point out about detail problem are considered actively and will be reflected in the improvement of the institutional and operational environments.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private should be extended in the entire process from the design stage of settlement support programs to execution. It is practically inevitable that the government superintends to support North Korea defector because of their special status. But at least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must be set in the steps of the residence prote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