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난민과 이주민에 대한 한국인의 규범적·정서적 포섭과 배제: 소속감 위계를 중심으로 (Koreans’s Normative and Affective Inclusion and Exclusion of Refugees and Migrants: Focusing on Hierarchy of the Sense of Belonging)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1.08
46P 미리보기
난민과 이주민에 대한 한국인의 규범적·정서적 포섭과 배제: 소속감 위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학 / 55권 / 3호 / 67 ~ 112페이지
    · 저자명 : 박상희

    초록

    이 글은 한국인이 난민과 이주민을 포섭·배제하는 원인을 분석했다. 한국인의 내집단 내부의 구성을 소속감 위계로 살펴보고, 소속감 위계가 난민과 이주민에 대한 포섭과 배제에 주는 영향을 탐구했다. 이 글의 차별점은 첫째, 소속감 위계 개념을 제안하여, 소속 개념에 내재한 방법론적 국민주의의 한계를 보완하고, 둘째, ‘타자에 대한 규범적·정서적 포섭과 배제 역량’ 개념화로 포섭과 배제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자료는 한국리서치의 「여론 속의 여론(2018년 6월)」 자료다. SPSS Statistics 19.0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한국인의 ‘대한민국, 한민족, 아시아인, 세계인 소속감’은 부재하거나 서로 중첩되어, ‘소속감 없음-단일 소속감-이중 소속감-삼중 소속감-모든 소속감’으로 다양했다. 소속감 위계와 규범적·정서적 포섭과 배제 간에 인과관계가 있었다. ‘소속감 없음’에 비해 소속감이 확장될수록 난민과 이주민에 대해 열린 태도를 보였고 ‘모든 소속감’의 규범적·정서적 포섭 역량이 가장 컸다. 종족 소속감으로 확장하는 경향(한민족 방향)과 지역 소속감으로 확장하는 경향(아시아인 방향)이 발견되었고, 전자의 포섭 역량이 더 컸다. 또 청년 세대들이 상대적으로 타자에게 닫힌 태도를 보였다. 이 글은 국민주의와 코스모폴리타니즘을 대립적으로 간주하지 않으며, 소속감의 확장과 그 방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시민권 제도와 같은 사회적 맥락에 따라, 소속감의 확장과 그 방향성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을 논했다. 이 연구는 소속감 위계를 통해 포섭과 배제를 이해하고, 인권을 존중하는 사회 실현에 기여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d the causes of Koreans’s inclusion and exclusion of refugees and migrants.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nal composition of Korean in-groups based on the hierarchy of sense of belonging and how hierarchy of sense of belonging affects the inclusion and exclusion of refugees and migrants. Two distinctive points from previous studies are: First, by proposing the concept of the hierarchy of sense of belonging, it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methodological nationalism inherent in the concept of belonging: Second, by conceptualizing ‘normative and affective inclusion and exclusion capabilities for others,’ it discusses the norma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intrinsic to the nature of inclusion and exclusion. For the analysis, <Public Opinion by Korea Research (June 2018)> was use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19.0, the senses of belonging of Koreans are seen absent or overlapping in one or another. The categories of sense of belonging are The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Ethnic, Asian, and Cosmopolitan. Therefore, it creates the levels of sense of belonging from ‘having no sense of belonging’, ‘single sense of belonging’, ‘double sense of belonging’, ‘triple sense of belonging’ to ‘having a sense of belonging to all.’ Also, it shows that there is causal relationship between ‘hierarchy of the sense of belonging’ and ‘normative and affective inclusion and exclusion of refugees and migrants.’ It shows that the higher the sense of belonging, the more open attitudes toward refugees and migrants as the sense of belonging has expanded, compared to ‘having no sense of belonging’. The group in the highest level, ‘having a sense of belonging to all’ had the greatest capability to include others in normative and affective ways. There were two main directions to which a sense of belonging expanded, one being toward one’s ethnic group (the Korean ethnic) and the other being toward one’s region(Asian). The former had a greater capability for inclusion of others. The younger generation showed a relatively closed attitude toward others. This paper supports the position that regards nationalism and cosmopolitanism as compatible, rather than in opposition to each other. Moreover, the way the sense of belonging expands and the direction of it is noteworthy. The expansions and directional tendencies may vary depending on the social context, such as the Korean citizenship system.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inclusion and exclusion happen within a society by examining a sense of belonging, as it attempts to contribute to realizing human rights i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