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과정 속 타자화: 초등 교과서에 재현된 이주민에 대한 비판적 시각 분석 (Othering in Curriculum: A Critical Visual Analysis on the Representation of Migrant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2.03
25P 미리보기
교육과정 속 타자화: 초등 교과서에 재현된 이주민에 대한 비판적 시각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과정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과정연구 / 40권 / 1호 / 131 ~ 155페이지
    · 저자명 : 류영휘

    초록

    교과서 속에서 이주민들은 비가시화되거나 사소하게 다루어져 왔을 뿐 아니라, 교과서를 통해 타자화되어 왔다. 본 연구는 비판적 시각 방법론에 기반해, 교과서 삽화에 재현된 이주민들의 모습을 검토함으로써 현행 교과서에서 이주민 재현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이주민들은 현재교과서에서 문화적 차이의 존재로 구성되고 있었다. 교과서 삽화는 다름이 긍정적이라는 메시지를 강조하고있었지만, 다른 한편으로, 다른 문화는 어려움과 당황스러움을 야기하는 것으로 묘사되면서 다른 문화로 인한사회적 갈등을 암시하기도 하였다. 교과서 삽화는 이주민들은 모범적 소수자로 구성하기도 하였다. 한국의 문화를 즐겁게 향유할 수 있고, 누구와나 잘 화합할 수 있으며, 경쟁력 있는 자본을 소유한 인물로 구성된 이주민은 실제 이주민들의 삶을 반영하기보다, 다문화 사회에 대한 한국인들의 이상을 투영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과서 속 삽화는 결혼 이주민을 중심으로 이주민을 재현하는 반면, 이주민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이주 노동자는 비가시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 자신들이 처한 문제를 해결하는 행위주체로서 이주민의 모습또한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러한 부재의 문제는 학생들이 이주민들을 수동적인 피해자로 인식하고, 주류 한국인과 이주민의 권력관계를 당연시하게 될 위험이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과서의 삽화가의도하지 않지만 이들에게 인식론적 폭력을 행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주민에 대한 재현이이주민들에게 어떻게 읽혀질 수 있는지에 대한 비판적 성찰, 더 많은 이주민의 목소리가 포함될 필요성, 그리고 자유주의적 다문화 교육에 대한 재고를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Based on critical visual methodology,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how migrants are represented in pictures in textbooks. This study finds three themes. First, migrants are constructed as culturally different. Even though textbooks emphasize the positive aspects of cultural differences, these differences are also described as causing embarrassment and difficulty, implying that social conflicts result from cultural differences. Second, textbook images construct migrants as model minorities. These constructed images depict migrants as enjoying Korean culture, getting along with everyone, and possessing competitive capital, thus projecting a Korean ideal about a multicultural society rather than reflecting migrants’ realities. Lastly, the textbook images represent migrant groups by focusing on marriage migrants while invisibilizing migrant workers. A further problem apparent throughout these three themes is the absence of any representation of migrants’ agency in addressing their own problems. This absence could be problematic in that students may regard migrants as passive victims and naturalize the existing power relations between migrants and Koreans. Based on these findings, I posit that textbook images may unintentionally exert epistemic violence against migrants. I also suggest critical reflection on how textbook representation of migrants could be read by migrants, the necessity of including more migrant voices in textbooks, and a reconsideration of liberal multicultural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과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