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복 없으니 고생이지: 한국 사회의 변화와 ‘피난민’ 장씨의 생애이야기 (“I’ve Had a Hard Life Because My Luck Is Bad”: The Life Story of An Old Woman in Chunghodong, a Refugee from The Korean War)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4.09
32P 미리보기
복 없으니 고생이지: 한국 사회의 변화와 ‘피난민’ 장씨의 생애이야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수록지 정보 : 가족과 문화 / 26권 / 3호 / 145 ~ 176페이지
    · 저자명 : 김민정

    초록

    이 글은 한국전쟁으로 이북에서 피난 나와 속초시 청호동에서 살아 온 노년 여성 장씨의생애이야기에 대한 분석이다. 한국 전쟁이 끝난 지 60여 년이 지난 시점에서 청호동 할머니의 생애를 피난민으로서 여성으로서 또한 지방민으로서의 삶으로 재조명해보는 것은 정치경제 분석에 치우친 근현대의 한국 사회연구에서 필요한 작업일 것이다.
    장씨의 피난 경험과 이남 사회에서의 정착과정은 극단적인 생활고 속에서 가족을 새로 구성하고 자신과 가족의 삶을 묶어서 생존해나가는 과정이었다. 가족 관계에서, 특히 남편이사망한 상황에서 노동은 자식을 먹이고 교육시키기 위한 것이었고 어머니의 역할을 다함으로써 가족관계를 유지하는 활동 그 자체였다. 장씨의 고생 서사는 자기부정으로 흐르지 않고피난민 세대의 정체성을 구성하며, 국가 전체가 함께 고생했다는 공감의 정서로 작용하여 분단 한국 사회에서의 적응방식으로도 작동한다.

    영어초록

    The ideological division of Korea has been a constant and defining characteristic conditionof South Korean society since the Korean War broke out in 1950. Here, I analyze the lifestory of an old woman in her eighties living in Chunghodong, an enclave in the port citySokcho in Gangwondo of refugees who fled North Korea during the war. My focus is onthe gender and diasporan identities which formed in the rapidly developing South Korea.
    Her experiences of evacuation from the North and resettlement in the South describe astruggle for survival: rebuilding and sustaining her family with limited support from the widersociety. Like the other old women in this village, she has been closely tied to her genderidentity as a mother in providing for her children, especially after her husband was lostat sea. Her social experiences have been reflected in her diasporan identity, expressing aself-negating cognition of her North Korean origin and a sympathetic fellow feeling towardothers who have also suffered the untimely deaths of family members. Her life has beendefined by “hardship” (gosaeng in Korean) as its most quintessential feature, and I intendto show how the modernization of the sundered South Korea has been deeply reliant onfamily functions and gendered roles, and how this has been reflected in individual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족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