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왕실 繪畵의 ‘公共性’―民을 그린 그림을 중심으로― (Publicness of Paintings during the Joseon Period―Focused on Describing the Suffering of the Peopl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1.02
23P 미리보기
조선 왕실 繪畵의 ‘公共性’―民을 그린 그림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90호 / 227 ~ 249페이지
    · 저자명 : 고연희

    초록

    조선시대 왕실의 회화 문화 가운데 ‘공공성’의 가치관을 보여주는 그림을 찾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 연구는 우리나라 民의 日常的 노동 農蠶의 고단함을 보여주는 稼穡艱難圖, 四民圖, 四時農功圖 등으로 불리는 화제가 역사적으로 중시되며 그려진 양상, 자연재해와 같은 非常時의 民이 겪었던 참담한 고통을 보고하는 流民圖, 安民圖, 保民圖 및 類似-流民圖로 분류될 만한 賑民圖와 飢民圖 등이 제작된 양상을 정리하고 논하였다. 이를 통하여, 조선시대 내내 국왕과 신료들은 民의 實狀을 정확히 알고 배려해야 하는 책무감을 가지고, 이러한 그림 문화를 중시하였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왕실에서 백성의 모습을 그린 그림 제작을 종종 요청하였고, 신료들은 이러한 그림을 올리는 것을 충성스런 행적으로 여겼다. 사회적으로 낮은 民間 계층의 어려운 사정을 최고 권력계층인 임금이 알도록 하는 이러한 그림들은, 민간의 고통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슬픔의 공감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였으며, 진휼의 정책을 펼치는 데 자료가 되었다. 이러한 그림들은 조선 사회의 전통 속에서 서로 다른 계층들이 고통을 함께 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共生의 가치관이 어떻게 그림 문화로 현현되었는가를 보여주는 예가 된다.

    영어초록

    The paintings that show clearly the values of publicness at the Joseon court were the paintings which describe the sufferings of the people. These paintings, such as painting of the hard time of farming and silk-worming, painting of wandering people in a drought or wars, were usually made for the purpose of informing the king of the true state of the people. After seeing these paintings, the kings of Joseon felt the sorrow of their hearts and thought about policies that helped the people.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e function of reporting the true state of the people was highly estimated by the kings and subjects who were responsible for caring for the difficulties of the people. Thus, these paintings are representative examples showing the values of publicness in the Joseon court. All the classes of Joseon recognized and sought to solve pain together in the traditions of this culture of pain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