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관학협력 사회혁신 프로젝트 수업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 Project-Based Learning for Social Innovation by a Public-Private-Academic Partnership)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0.09
25P 미리보기
민관학협력 사회혁신 프로젝트 수업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혁신연구 / 30권 / 3호 / 303 ~ 327페이지
    · 저자명 : 윤수진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2020학년도 1학기에 A여자대학교에서 실시한 사회문제해결 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통해 사회혁신을 위한 민관학협력 수업의 역할과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대학에서의 사회혁신교육 실천의 유용한 한 방안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수업 관련 기록, 개발 및 운영 회의록, 학생 제출물(프로젝트 결과 발표자료, 성찰저널, 만족도 조사 결과)을 주요 데이터로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핵심 주제를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이 수업은 대학, 정부기관, NGO, 민간기업이 참여한 민관학협력 수업으로 개발, 운영되었으며 학생들은 의정부시 도시재생사업의 한 부분에 참여하였다. 총 28명의 수강생이 7개 팀으로 나뉘어 의정부시 신흥마을에서 프로젝트를 실시하였고, 각 기관은 프로젝트 현장 제공, 기관별 멘토링과 전문가 평가로 수업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수업을 통해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고 기관 간 협업을 통해 사회 변화를 추구해 가는 과정을 경험하였고 이를 통해 사회혁신 활동이 독려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 논문은 민관학협력 프로젝트 수업이 사회혁신을 추구하는 다양한 주체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사회혁신 활동을 촉진함으로써 유용한 사회혁신교육 실천의 한 방안으로서 대학에서 적용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향후 발전된 수업을 통해 사회변화에 실제적으로 기여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현장 주민들과의 소통과 협업이 강화될 수 있는 방안과 지원 체계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영어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a university course as a means of connecting various social innovation actors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 project-based learning for social innovation by a public-private-academic partnership conducted at a women’s university. Based on the case study, this research suggests an effective approach of social innovation education. Method: The course was reviewed by analyzing the class materials, course-related records, results of the class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after the end of the course, reflection journals submitted by the students, project’s final presentation materials and project proposals of each team. Results: The course was developed as a public-private-academic partnership involving a university, a government agency, a non-profit organization, and a private company.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ourse were part of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the city of Uijeongbu. A total of 28 students took part in the project designed in the course. The agencies that participated in the course supported and mentored the students and also evaluated their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whole process of a project and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the course because of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agencies in the pursuit of social change. The students were also inspired to participate in social innovation activities during the whole process of the course. Conclusion: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directives for promoting social innovation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various actors pursuing social innovation, namely between agencies and institutions, and between the students and institutions. The course can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approach of social innovation education in universities. Further work is needed to build a support system to strengthen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various social innovation actors including residents of the project si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