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민약정의』에서의 개인과 국가-中古를 중심으로- (Individual and Nation in the Essence of Chinese Social Contract)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4.06
26P 미리보기
『중국민약정의』에서의 개인과 국가-中古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30권 / 283 ~ 308페이지
    · 저자명 : 노병렬, 천병돈

    초록

    1911년 신해혁명 이전까지의 중국은 황제가 국가를 대신하는 전제군주 정권이다. 따라서 국가와 국민은 황제의 소유물이었다. 이러한 전제군주제 아래서 개인(民)의 권리를 강조한 사상가들이 있었다는 것 자체가 획기적이다.
    유사배는 『중국민약정의』를 통해 중국 中古 사상가들의 ‘민주적 사상’을 논평하면서, 자신의 민주 이념을 서술했다. 유사배가 평한 中古 사상가들의 ‘민주적 이념’은 다음과 같다:첫째, 동중서․태사공․유향․반고․왕부․두예․유종원 모두 백성이 군주보다 중요함을 강조했다.
    둘째, 陸淳에 대한 논평에서 군주의 책임을 강조했다.
    셋째, 蘇洵 蘇軾 蘇轍 등 三蘇 이후 程子(伊川)·樓鑰·朱子·陸子(陸象山)·王應麟에 대한 논평에서는 백성의 권리를 강조했다. 특히 程子에서는 국민의 단결권을. 陸象山에서는 立法權을 제시한 점이 돋보인다.
    유사배는 국가의 주인은 군주가 아니라 국민(民)이라는 관점에서, 禪讓을 반대하고, 무비판적으로 수용했던 忠․大逆無道의 개념도 바로 잡았다. 그러면서 중국에서 전제 군주정치 실행의 원인이 자신들의 권리를 찾지 못한 백성(국민)에게 있다고 보았다. 이것은 전제정치의 유래가 군주(황제)에게 있다는 종래의 관점을 뒤바꾼 것이다.
    다만 전제정치 아래서 이처럼 많은 ‘민주적 이념’이 있었지만, 그것이 왜 구체화되지 못했는지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 없다는 점에서 유사배의 논평은 한계가 있다.

    영어초록

    The period of middle-ancient defined by Liushipei is from the Han Dynasty to the Song Dynasty. At that time China was governed by the autocrat or the Emperor who is equally treated as the nation. In this respect, the people and the nation are belong to the Emperor. This is an epoch-marking event that some of theorists emphasize the right of individual under the regime of autocrat.
    Liushipei evaluated the Chinese theorists' democratic thought and described his democratic ideology in his Essence of Chinese Social Contract, as follows.
    First of all, they emphasized that the people is more important than any the autocrat. Second, they pointed out that the responsibility of autocrat is important in the comment on Luchun(陸淳). Finally, they accentuated the right of people, in particular the right of organize by Chengzi(程子), the legislative power by Lushangshan(陸象山).
    Liushipei believed that the owner of nation is the people instead of the ruler. In this term, he dissented the concept of 'Sunyang(禪讓),' which the ruler gives his ruling power to any one. Also, he corrected the concept of 'allegiance to the nation(忠)‘ and 'heinous treason(大逆無道)’ which were adapted by unconditionally. Liushipei saw that the realization of the autocrat politics is caused by the people who has not his political right. This argument changed the existence belief that the power of ruler comes from the Emperor.
    However, the points of Liushipei have a limit that he couldn't provide the reason why 'democratic ideology' did not externalize under the autocrat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