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의 선택적부부별성제도에 대한 의식변화-정치권과 국민의 의식변화를 중심으로-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System Allowing a Husband and Wife to Adopt Separate Surnames of Their Own Accord in Japan: Focus on Changing Political and Public Perception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4.07
27P 미리보기
일본의 선택적부부별성제도에 대한 의식변화-정치권과 국민의 의식변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일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문화연구 / 51호 / 179 ~ 205페이지
    · 저자명 : 신경애

    초록

    This paper views varying political and public reactions to creating a system wherein each spouse is allowed to have his or her own separate surname. By analyzing congressional records, surveys of political parties and congressional members, and public polls, the study reveals some fundamental differences in the ways that advocates and critics of the new system perceive the issue.
    The critics do not want to adopt the new system because it has potential to both split public opinion and weaken familial connections. The advocates, on the other hand, hold that the new system could promote gender equality, relieve women’s struggles, protect minority rights, and introduce more diverse values to the society.
    As for public opinion, more people have rejected the idea in surveys since 1976, when the government ran its first public poll on the topic. In addition, only about 5 to 7% of the respondents have said that they would use their own surnames if they can.
    Subsequently, the policy should instead be pursued in the context of preserving rights for the minority of people who want their own surnames. Civil and women’s rights organizations, while working hand in hand with political advocates, should take leading roles in generating broad public support for the system. Politically, a party backing the policy could strengthen its position by running campaigns against its congressional candidates who do not endorse the new system. Efforts should be made in the academic realm as well, where increased awareness of the topic could generate a favorable atmosphere for spouses who want to use their own surnames.

    영어초록

    This paper views varying political and public reactions to creating a system wherein each spouse is allowed to have his or her own separate surname. By analyzing congressional records, surveys of political parties and congressional members, and public polls, the study reveals some fundamental differences in the ways that advocates and critics of the new system perceive the issue.
    The critics do not want to adopt the new system because it has potential to both split public opinion and weaken familial connections. The advocates, on the other hand, hold that the new system could promote gender equality, relieve women’s struggles, protect minority rights, and introduce more diverse values to the society.
    As for public opinion, more people have rejected the idea in surveys since 1976, when the government ran its first public poll on the topic. In addition, only about 5 to 7% of the respondents have said that they would use their own surnames if they can.
    Subsequently, the policy should instead be pursued in the context of preserving rights for the minority of people who want their own surnames. Civil and women’s rights organizations, while working hand in hand with political advocates, should take leading roles in generating broad public support for the system. Politically, a party backing the policy could strengthen its position by running campaigns against its congressional candidates who do not endorse the new system. Efforts should be made in the academic realm as well, where increased awareness of the topic could generate a favorable atmosphere for spouses who want to use their own surna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