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주홍 작품의 화전민과 메아리 모티프의 변모 양상 (The Changes of Slash-burn Farmers and the Echo as Motifs in Lee, Juhong’s Work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6.04
31P 미리보기
이주홍 작품의 화전민과 메아리 모티프의 변모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72호 / 229 ~ 259페이지
    · 저자명 : 류종렬

    초록

    이 글은 향파 이주홍의 기행보고문 「비경에 사는 사람들- 갑산, 풍산을 다녀와서」(1941)와, 소설 「내 산아」(1943)와 동화 「메아리」(1959)의 상호텍스트적 성격을 화전민과 메아리 모티프의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비경에 사는 사람들- 갑산, 풍산을 다녀와서」은 필자가 새로 발굴한 작품으로서, 1941년 11월 『半島の光』에 ‘(산지대)농(어)촌 현장 보고’라는 특집 연재물의 한 편이며, 화전민에 대한 향파의 깊은 관심을 보여주는 화전민 모티프의 기행보고문이다. 이 기행보고문은 향파 자신에게 최초의 북선여행이라는 여로의 낭만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함경도 일대 화전지대의 화전민들의 생활상을 조사하여 알리고자 한 것이다. 향파가 관심을 가진 화전민 모티프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되지만, 그 내용은 주로 화전민들이 오늘날처럼 잘 살게 된 것이 조선금융조합연합회와 일제의 정책 덕분이라고 칭송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당시의 화전민과 화전민촌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여 기술하고 있는 것으로, 조선금융조합연합회나 나아가 일제 총독부가 주창한 국민총력운동의 농산촌생산보국 정책에 따르는 대일협력적인 내용으로 일관하고 있다.
    「내 산아」는 일제말기에 『야담』 1943년 8월호에 발표된 소설로서 앞의 기행보고문의 화전민 모티프를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메아리 모티프가 첨가되어, 두 모티프가 작품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이 작품의 화전민 모티프는 작품 전체 구조에서 중요한 모티프로 작동하고 있다. 먼저 주인공이 관심을 가지고 방학 중에 연구를 하려고 찾아간 곳이 지리산의 화전민촌이고, 다음 그로 하여금 화전민 청년의 시국인식에 감격하고 그의 뒤를 이어 야학을 할만큼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또한 주인공이 야학을 하게 된 동기를 기술하는 가운데 대일협력의 내용이 드러난다. 그리고 메아리 모티프에는 부인물인 혜련이라는 젊은 여성이 자연에 동화되고 순응하여 지난 삶의 고통을 치유할 수 있다는 의미와 삶의 간절함이 담겨있다.
    「메아리」는 1959년에 『부산일보』에 수록되어 있는 동화이다. 이 작품은 앞의 기행보고문과 소설 「내 산아」가 지닌 화전민 모티프가 중요한 모티프로서의 의미를 상실하고, 등장인물들이 살아가는 장소로서의 배경으로만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메아리 모티프가 주요한 모티프로 작용하고 있는데, 앞의 소설 「내 산아」와는 달리 메아리를 부르는 주체가 젊은 여성에서 어린 남자 아이로 바뀌었고 그 내용도 동화적인 것으로 바뀌었다. 즉 메아리만이 어린 주인공에게 놀이의 동무와 같은 의미를 지니는 중요한 모티프가 되어 자연을 동무삼아 살아가는 아이의 산골생활을 아름답게 그리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views the intertextuality of the travel report 「People living in unexplored regions - Visiting Gapsan and Pungsan(비경에 사는 사람들 - 갑산, 풍산을 다녀와서)」(1941), the novel 「Oh, My Mountain(내 산아)」(1943) and the juvenile story 「The Echo(메아리)」(1959) written by Hyangpa Lee, Juhong from the viewpoint of slash-burn farmers and the echo as motifs.
    「People living in unexplored regions - Visiting Gapsan and Pungsan(비경에 사는 사람들- 갑산, 풍산을 다녀와서)」 was newly discovered by me, which is a travel report showing Hyangpa’s deep interest in slash-burn farmers as a motif. It was a part of special serial of ‘A Field Report on the Montane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The Light of the Peninsular(半島の光)』 in November of 1941. This essay says both the romantic journey of his first trip to the Northen part of Chosun and the reality of the slash-burn farmers’ life around Hamgyeong Province. It seems to focus on the story of the slash-burn farmers as a motif, however, it mainly thanks the Chosun Financial Society Association and the Japanese policy for help the slash-burn farmers live better. This distorts the historical reality of the contemporary slash-burn farmers and their villages and is consistent in cooperating with Japan following the policy of the Chosun Financial Society Association and the policy of the Rural Revitalization Campaign as a part of the National Mobilization Campaign advoc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al General.
    「Oh, My Mountain(내 산아)」 is a novel posted on the issue of August, 1943 of 『Yadam(historical tale,야담)』 was based on the motif of slash-burn farmers from the previous travel report with additional motif of echo. The two motifs are the core of the novel and especially the slash-burn farmers motif works for the whole structure of the work. The motif of slash-burn farmers is meaningful in the viewpoint that the main character visited a slash-burn farming town in Mt. Jiri with interest during his vacation and was impressed by the recoginition of the contemporary situation of the young farmer there and then joined yahak(a night school). The motif of echo is also important containing the earnest life as the young female character Hyeryeon assimilated with nature to cure her past cruel pain.
    「The Echo(메아리)」 is a juvenile story appeared in 『Busanilbo (Busan Daily Newspaper)』 in 1959. In this work, the slash-burn farming village loses its meaning in the novel 「Oh, My Mountain(내 산아)」, and only serves as a setting for living of the characters. The echo still works a significant motif, different from the previous novel 「Oh, My Mountain(내 산아)」, the main agent making the echo changes from a young woman to a young boy rather as the contents turns to be juvenile. That is, only the echo remains significant as a motif which helps depict the life of the young main character with the echo as his friend in the mantane region beautifull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