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의 민사소송 제도에 대한 현대적 평가 (A Modern Approach to Civil Procedure of the Chosun Dynast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5.12
27P 미리보기
조선시대의 민사소송 제도에 대한 현대적 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39권 / 4호 / 3 ~ 29페이지
    · 저자명 : 이종구

    초록

    본고는 조선시대의 민사소송 구조를 살펴보면서 대법원의 상고법원 설치안에 관하여 첨언하였다. 민사소송제도는 법원이 사적인 권리의무에 관한 분쟁을 확정하여 사회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조선시대에 소송의 범람은 유교적 공동체의 질서를 저해하는 것으로 예치(禮治)가 실현되는 이상사회와는거리가 먼 것이었다. 그러나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사권의식의 확장과 더불어소송이 범람하였고, 조선은 소송을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정책들을 채택하였다. 가령 조선은 단송(斷訟)을 위한 타협책으로 과한법(過限法)을 제정하여 출소기간을 제한하고, 삼도득신법(三度得伸法)에 의하여 판결의 확정력 또는 기판력을 강화하고, 또한 소송지연을 막기 위하여 친착법(親着法) 등을 채택하였다. 또한 민사재판은 쌍방심리주의, 당사자처분권주의, 변론주의 및 증거재판주의에 입각하여 진행되어 오늘날의 민사재판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조선시대 민사재판은 독립성이 보장된 법률전문가가 아니라 고을 수령인 행정관이 재판을 진행함으로써 재판의 공정성이나 판결의 신뢰성이 충분하게 확보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단송을 위하여 채택된 여러 정책들에도 불구하고 소송의 범람과 남소는 위정자들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오늘날에도 다르지 않다. 법원은 민사소송의 범람으로 과도한 업무에 시달리고 있고, 대법원은 상고사건의 폭주로 인하여 최고법원으로서의 권위를 잃어가고 있다. 따라서 대법원은 재판업무의 과중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 상고법원 설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하급심 판결이 대법원의 판결 못지않은 신뢰와 권위를 갖춘다면 상고사건은 자연스럽게 줄어들 것이다. 따라서 대법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하급심의 강화가 어느 정도 정착되고, 하급심의 판결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가 확보되어 가는 것을 보면서 상고법원 설치의 필요성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한다.

    영어초록

    The law of civil procedure prescribes the methods by which individuals may enforce their substantive laws by civil lawsuits. Korea introduced modern civil procedures, based on French and German models in Kobo Reform of 1894.
    Korea was the monarch, called Chosun Dynasty, from 1392 to 1910. Chosun adopted Confucianism as a state ideology. Confucianism was a body of philosophical and ethical-sociopolitical teachings. One of the teachings of Confucius was the proper rite(Ye, 禮), which means a moral norm. Confucians insisted that governments do not rely on penal punishment, but place more emphasis on a moral norm when they govern their people. According to Confucianism, Chosun tried to realize a moral and peaceful society. During Chosun dynasty, the inundation of civil lawsuits was very problematic because it hindered the achievement of a rational-moral society. Therefore, Chosun developed and adopted many kinds of judicial policy to cut back civil litigations expediently. For instances, it limited the period of time for bringing a civil case in court. According to the Statute of Gwahan, which is similar to a statute of limitation, the maximum time was 5 years. Chosun adopted Samdoddeuksin rule, which means a principle of a three-instance trial process. Under the rule, claims can be filed three time to a lower court and a higher court. If a party win two times in the lawsuit, he or she becomes a final winner. In addition, even though a party was summoned by a service by judge’s order, if a party does not appear on the date for oral arguments, the party loses the case. This was called Chinchak, which is similar to today’s constructive admission. In addition, Chosun adopted an adversary system and a principle of trial by evidence to secure the trial fairness and justice. As a result, the suit began with the parties presenting their claims, and the parties themselves was responsible for gathering and presenting evidence and arguments on behalf of their positions. Judge merely listened to both sides and then rendered a decision. Accordingly, judges played the relatively passive role of umpire. However, despite the effort of Chosun government, these procedural rules were not perfectly followed by judges and parties. In particularly, the Executive and the Judiciary was not separated, and judicial power was exercised by administrative officials, not legal experts. They sometimes abused their judicial power, and therefore parties did not often trust the judicial process. Therefore, during Chosun dynasty, courts have been inundated with civil lawsuits. However, it is remarkable that Chosun government adopted a statute of limitation, a three-instance trial process, an adversary system, and a principle of trial by evidence to handle civil cases fairly and expeditious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