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國志』 東夷傳에 나타난 대민지배방식과 民·下戶의 성격 (The Characteristics of Min(民) and Haho(下戶) and the Local Ruling System Based on the Records of the Dongyi-jeon(東夷傳) in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8.06
39P 미리보기
『三國志』 東夷傳에 나타난 대민지배방식과 民·下戶의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90호 / 5 ~ 43페이지
    · 저자명 : 나유정

    초록

    이 글은 『삼국지』 동이전에 보이는 民과 下戶의 용례를 검토하고, 『삼국지』 찬자가 동이사회 일반 주민집단을 下戶라고 표현한 이유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기존 연구는 주로 下戶 자체의 사회경제적 성격에 주목하여 사회 구성원의 계층적 성격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다만 『삼국지』 찬자의 관찰자적 시각을 고려하여 동이전 하호에 대해 다각도로 살펴보는 시도는 부족하였다.
    『삼국지』 찬자는 民에 대하여 律의 적용을 받던 황제의 齊一的 통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고대 중국왕조에서 民은 황제를 정점으로 하는 지방지배, 구체적으로는 호적과 같은 시스템에 속하여 역역과 조세를 납부하였다. 일찍이 진한시기부터 율령을 전제로 하는 호적기반의 인민지배가 국가통치의 기본으로 적용되었기 때문에 『삼국지』 찬자는 위와 같은 통치 체제에 속하는 대상이 民이라는 인식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찬술 배경에서 『삼국지』 동이전의 구체적인 통치 대상을 지칭하는 民 용례가 대부분 군현지배체제에 포섭된 존재에 한하여 지칭되고 있다.
    반면에 『삼국지』 동이전에서 국가 구성원 전체를 의미하는 ‘民’의 용례를 제외하면, 동이사회의 구체적인 통치 대상에 대해서는 ‘下戶’로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下戶는 특정한 상위계층의 統主를 받으며 이들에게 역역과 조세를 바치는 존재로 나타나고 있다. 3세기 당시 동이사회는 국왕 중심의 지방제도가 정비되지 못하였고, 諸勢力의 자치력이 강한 상태였다. 이와 같은 고대 중국왕조와 동이사회의 지배방식의 차이로 인해 『삼국지』 찬자의 기준에서 표현하는 피지배층의 용어가 달랐을 것으로 파악했다. 즉 『삼국지』 동이전의 下戶는 3세기 동이사회와 고대 중국왕조의 지배구조 및 지배체제의 차이라는 관점에서 동이사회 통치대상으로 통칭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examples of Min(民) and Haho(下戶) seen in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 and considers the reason why Chinese expressed general group of people in Dong-Yi(東夷) society as Haho. Existing research examined the hierarchical nature of the members of society focusing on the socioeconomic nature of the Haho. However,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Haho in the “Dongyi-jeon(東夷傳)”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 was not achieved in various angles.
    The writer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recognized Min as an equivalent object of the rule by the emperor who were subject to the law(律). The ancient Chinese dynasties people who belonged to the local ruling system such as family register system with the emperor as the peak did forced labor and paid taxes. Since Qin and Han Dynasties, ruling based on the family register on the basis of law code(律令) was applied as the foundation of state government. Therefore, the writer basically had the perception that the subjects belonging to the above-mentioned governing system were Min. With this background of writing, in the “Dongyi-jeon” the examples of Min which refer to the specific ruling subjects are manly referred to only as those who are under the Kunhyon(郡縣) Ruling System.
    On the other hand, except for the use of ‘Min’ which refers to the whole members of the state in the “Dongyi-jeon”, the specific ruling subject of Dongyi society is expressed as ‘Haho’. Haho is seen as a person who takes the command of a particular upper class who does the forced labor and pays taxes to them. At the time of the third century, Dongyi society was unable to organize the king-centered local system and the autonomy of the various forces was strong. Therefor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way of ruling between the Jungwon and Dongyi society, the term for the subjugated class expressed by the writer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 was different.
    In other words, since the general people were directly ruled by Euprak(邑落) or Bu(府) that exercised autonomous dominance rather than the king-centered ruling organization, it is possible that the writer expressed ruling subject of Dongyi society as Haho to distinguish them from the general 編戶齊民 of the The ancient Chinese dynasties. Haho in the “Dongyi-jeon” was expressed as a subjugated class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the structure and system of their rule between Dongyi society and Jungw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