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측할 수 없는 여정 속 우회로 찾기: COVID-19 팬데믹 시기에 학부모로 전이한 맞벌이 부모의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Figuring out Detours in the Unpredictable Journey: A Study on Dual-earner Parents’ Experience with their Children’s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during COVID-19)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3.06
38P 미리보기
예측할 수 없는 여정 속 우회로 찾기: COVID-19 팬데믹 시기에 학부모로 전이한 맞벌이 부모의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수록지 정보 : 가족과 문화 / 35권 / 2호 / 1 ~ 38페이지
    · 저자명 : 정인혜, 주수산나, 신혜림, 김현경

    초록

    본 연구는 맞벌이 부모의 COVID-19 팬데믹 시기 경험이 자녀의 초등 전이 경험과 교차하는 지점을 탐구함으로써 위기 상황에서 초등 전이 과정의 적응에 조력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을 찾고자 하였다. 2020년에 학령기로 전이한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를 대상으로 유관 온라인 커뮤니티에 연구 소개문을 게시하는 한편, 눈덩이 표집을 활용하여 참여자를 모집하였으며, 그 결과 2021년 5월부터 8월까지 총 10명(5쌍)의 부모가 각각 개별적으로 비대면 인터뷰에 응하였다. 질적연구 방법인 현상학적 연구 틀을 적용하여 이들 경험의 본질적 구성 요소를 도출한 결과, 팬데믹 시기에 초등학교에 입학한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양육 경험은 예측할 수 없는 길 위를 운전하며 동지가 되어 우회로를 찾아 헤매는 과정으로 구조화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COVID-19 감염 확산으로 예상한 길이 닫히자 임시방편으로 대처하며계획을 수정해야 했다. 이때 학령기 자녀 생활의 중요한 축을 맡는 기관인 학교가 안정적인역할을 못하게 되자 부모는 자체적으로 자녀를 ‘돌봄’과 동시에 ‘교육’하며 가족 단위에서 취할 수 있는 자원에 기반하여 개별 전략을 수립해야 했다. 연구 참여자가 처한 일터 맥락의 가족친화제도와 가용 자원에 따라 구체적인 양상이 조금씩 달랐지만, 어머니가 ‘콘트롤타워’ 역할을 하면 아버지가 ‘백업’하며 온 가족이 가용 자원을 활용하여 함께 길을 찾고자 하였다. 본연구 결과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하게 실시된 위기 상황에서 가정으로 일임된 초등 전이 자녀의 교육 및 양육이 맞벌이 부모의 일터와 자녀의 학교 등 가족을 둘러싼 생태체계적 맥락과긴밀하게 상호작용하고 있었음을 확인하며, 유사시를 대비하여 기업의 가족친화제도의 보완및 강화와 지역사회 내 가정과 학교 간 체계적 소통 체계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 of dual-earner parents whose children entered elementary school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ive couples with children who entered elementary school in 2020 were recruited through internet websites and word-of-mouth communication. In-depth interviews with these parent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from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The parents’ experiences can be summarized as figuring out detours while navigating an unpredictable journey. In addition to fulfilling their regular obligations, the parents had to support their children with limited guidance from their schools. While experiences varied by family, parents’ roles were often gendered: the mother was in charge and the father provided support.
    Overall, the father and mother worked well together, prioritizing taking care of their children and adjusting their schedules accordingly. It was crucial that parents altered their work schedules. Parents who took advantage of family-friendly policies during the pandemic, such as flexible work shifts, telecommuting, and family care leave, reported feeling less stres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lace taking care of children cannot be limited to the house where parents and their children live, even during emergencies with strict social distancing policies. The ecological context of each family, such as a parent’s workplace and the child’s school, should be jointly considered when the countermeasures for helping parents and their children are planned and implemen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