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로나 팬데믹 이후의 교실을 견디는 교사의 단상: 혐오, 접촉, 그리고 ‘함께 나눔’의 교육적 의미를 중심으로 (The Teacher's Consideration to Sustain Classroom Environment Post-COVID Pandemic: Focusing on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Disgust, Contact, and “Communicatio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3.12
24P 미리보기
코로나 팬데믹 이후의 교실을 견디는 교사의 단상: 혐오, 접촉, 그리고 ‘함께 나눔’의 교육적 의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연구 / 45권 / 4호 / 59 ~ 82페이지
    · 저자명 : 김민희, 최진

    초록

    이 글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한 초등교사가 교실에서 마주한 학생들의 관계양상이 이전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왕따 현상과 관련하여 주목함으로써 지난 팬데믹 기간 동안 우리가 학교에서 잃어버린 차원이 무엇이었는지 탐색하고, 그것을 회복할 수 있는 교육적 접근은 어떤 방향이어야 하는지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교실에서 일어나는 왕따 현상이 과거와 미묘하게 달라진 점이 팬데믹 기간 동안 자기보존을 위해위험한 대상을 혐오하는 반응을 학습한 것과 연결될 수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후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학생들이 왕따 학생에게 일부러 다가가게끔 고안했던 교사의 전략을 기술하고 그 전략은 인간에 대한 혐오가 ‘접촉’에 의해 해소될 수 있음을 논의한 진화인류학자 브라이언 헤어의 접촉 개념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고 해석하였다. 그러나 헤어의 접촉 개념을 적용하여 시도한 해결책이 외견상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다고 판단될 수 있는지점에 머물러, 이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개념으로써 하이데거의 ‘함께 나눔’을 제시하고 팬데믹 기간 동안 학생들이 잃어버린 것은 말로 인해 구성될 수 있는 인간의 근본적인 실존구조이자 비본래적인 토대일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이로부터 오늘날 학교는 교육적으로 본래적 존재에 대해 논하기 위해 비본래적 토대를 구축할 수 있는인간의 존재론적 조건을 경험하는 시공간으로 재고될 가능성이 있다고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dimensions that have been lost in schools during the previous pandemic and propose an educational approach to recover them by addressing the issue of bullying, which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observed as a noticeable change in the relationship patterns among students in the classroom following the COVID pandemic. In pursuit of this aim, it is initially proposed that the subtle transformation in classroom bullying from previous times can be associated with the acquisition of self-preserving responses against perilous objects amid the pandemic.
    Subsequently, as a viable strategy to counteract this phenomenon, the teacher's meticulously crafted pedagogical maneuver, designed to prompt students to intentionally interact with bullying perpetrators, was expounded upon and construed in a manner that suggested the strategy could find theoretical support in the contact concept postulated by evolutionary anthropologist Brian Hare, who contended that the enmity among humans could be ameliorated through interpersonal engagement. However, I suggested using Heidegger's idea of communication as a concept that can help us understand situations that are not explained and interpreted in an evolutionary anthropological way, and explained what students lost during the pandemic as a basic human existence structure and a non-original foundation that can be expressed with words. It was proposed that contemporary educational institutions need to be reevaluated as a temporal and spatial framework that shapes the fundamental aspects of human existence, allowing for a broader exploration of their original educational purpo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