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팬데믹(pandemic) 경험 분석을 위한 이론적 시각 제안 (Proposing a Theoretical Perspective for Analyzing the Experience of the COVID-19 Pandemic)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3.03
29P 미리보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팬데믹(pandemic) 경험 분석을 위한 이론적 시각 제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사회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사상과 문화 / 26권 / 1호 / 79 ~ 107페이지
    · 저자명 : 오세근

    초록

    현재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팬데믹은 우리 사회의 여러 영역에 걸쳐 큰 변화를 이끌어 내면서 개인이나 가족의 삶에 어려움과 불안을 키우고 있는 진행형 재해이다. 팬데믹은 공중보건이나 의료 영역의 문제로서만이 아니라 생존 본능이나 죽음에 대한 불안과 뒤섞여 개인과 사회의 일상마저 뒤흔든다. 일하는 방식, 생산품이나 생활 물자를 유통하고 배송하는 형식, 사람과 사람이 교류하는 모습, 심지어 식당에서 밥 먹고 산책하고 영화 보는 행태까지 바꾸어 놓는다. 이와 같은 광범위하고 장기에 걸친 집단 감염증으로서 ‘코로나-19’가 초래한 다양한 문제 상황을 학문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해서 정책을 마련하고 제도로 실행하려는 다양한 활동 또한 진행한다.
    그런데 ‘코로나-19’ 팬데믹은 이 상황을 넘어서기 위한 정책이나 제도차원의 정밀한 분석과 더불어 ‘사회적 실재’로서 팬데믹 경험에 담긴 의미 해석과 새로운 삶의 방식에 대한 궁리로 확장되어야 한다.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혼돈 속에서도 삶은 이어지고 코로나 이전과 이후 사람들의 생활 방식이나 생각하는 관점 등에 많은 변화를 체감하고 있기때문이다. 그런 변화가 다만 단기적 경향이나 일시적 현상일지 아니면새로운 삶의 양식으로서 즉 뉴노멀(New Normal)로서 자리 잡을 것인지, 새로운 관습이나 생활 습관이 된다고 한다면 그것은 사람의 무리 지어사는 관계 형식이나 의식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바꾸는지 가려내고 판별할 필요가 생겨난 것이다.
    이런 문제의식을 전제로 이 글은 첫째, 감염증의 팬데믹 경험은 인류사에서 일회적이고 우연적인 현상이 아닌 시간과 공간을 관통해 반복하면서 사회변동의 직접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임을 확인하려고 한다. 이런 입장을 취함으로써 지금 여기서 우리가 경험하는 팬데믹을 그 발생 원인, 확산 매개체, 피해 규모나 범위와 같은 물리적이고 생물학적인 이해의 대상으로만 가두어 두지 않게 된다. 물리학과 생물학의 엄밀한 분석 시각을 기저에서 공유하면서도 팬데믹은 당대 사회 질서와 정치 시스템에 어떤 변동을 가져오며, 그 모멘텀과 역사적 경향은 어떤 것인가를 살핀다. 둘째, 팬데믹으로 사회의 다양한 층위에서 현재화하는 사회적 위험과 삶의 위기, 나아가 위험사회를 넘어서기 위해 동원하고 있는 정치적 상부구조의 법·규범·안전 메커니즘의 역할과 기능을 상호 연관하여 설명할 수 있는 거시적 이론 틀을 다시 생각해 본다. 세 번째, 팬데믹이 주조한 위험 사회, 그리고 위험 사회의 정치 시스템으로서 ‘생명관리 권력’이라는 거시구조는 개별 주체의 삶의 공간에서 실제 어떤 모습으로 현상하는지를 확인한다. 사회구조와 미시적 개인을 매개하는 사회제도는 가족이다. ‘코로나-19’ 확산이 가져온 삶의 양식 변화를 반영하거나 그에 저항하는 가족 구성원 사이의 역할 갈등이나 관계 변화의 의미를 살핀다.

    영어초록

    COVID-19 pandemic is an ongoing disaster that has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various areas of our society, while causing difficulties and anxiety in the lives of individuals and families. It changes our entire life style such as the way we work, the way we distribute and deliver daily necessities, even the way people interact with each other. Also, various activities are being carried out to develop policies and implement them into systems by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various problematic situations. However, the COVID-19 pandemic requires not only precise policy and institutional analysis but also an expansion into a “social reality” that reflects on the meaning of the pandemic experience and seeks new ways of life. If these changes are not merely short-term tendencies or temporary phenomena, but rather become a new habit or way of life, it is necessary to discern how they are specifically changing people’s relationships and their consciousness of living together as a group.
    This article aims to confirm that the experience of the pandemic is not a unique and accidental phenomenon in human history but rather a direct factor in social change. With this perspective, we can move beyond simply analyzing the pandemic in terms of its causes, transmission, and impact, and begin to consider how it is affecting our society and political systems, as well as its momentum and historical trends. Secondly, we reconsider the macro theoretical framework that explains the role and function of legal norms and safety mechanisms mobilized by the political upper structure to overcome the social risks and crises. Thirdly, we examine how the macro structure of biopolitics as a risky society and a political system shaped by the pandemic manifests itself in the life of individuals. The family is a social institution that mediates between social structure and micro individuals. By doing so, we examine the significance of changes in the way of life brought about by the spread of COVID-19 and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s such as role confli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