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팬데믹 시대, ‘공간’을 주제로 한 글쓰기치료 수업 모형 연구 (A Study of a Sriting Therapy Class Model about “Space” in the Pandemic Er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2.01
36P 미리보기
팬데믹 시대, ‘공간’을 주제로 한 글쓰기치료 수업 모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62권 / 161 ~ 196페이지
    · 저자명 : 홍단비

    초록

    본고는 팬데믹 시대, 사회적 거리두기와 관계의 단절 등으로 고립감과 우울감 등을 경험하는 20대들에게 심리적인 도움이 필요하다는 점, 팬데믹 시대, 집안이나 실내 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크게 증가한 대학생들에게 ‘공간’에 대한 사유가 필요하다는 두 가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팬데믹 시대 ‘공간’을 주제로 한 글쓰기치료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4차시로 구성된 본 수업 모델은 글쓰기치료의 4단계 과정에 따라 고안된 모델로, 체베나 쓰기를 통한 무의식 속 공간 탐색(1차시), 나의 기억 속 토포필리아 탐색(2차시), 토포필리아의 공유를 통한 공간의식의 확장(3차시), 현재 나에게 가장 의미 있는 공간 찾기와 소감 쓰기(4차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논의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첫째, 공간을 주제로 한 글쓰기는 팬데믹 시대, 자신의 리비도가 가장 많이 투영되어 있는 공간을 발견하고, 그 공간에서의 행위와 의미들을 탐색할 수 있게 한다. 둘째, 토포필리아에 대한 글쓰기는 과거의 소중한 공간에 대한 기억과 감정들을 되살아나게 함으로써 공간의 중요성과 공간의 가치를 깨닫게 한다. 셋째, 수업시간에 발표를 통해 공유하는 공간에 대한 기억은 공간에 대한 이해와 깊이를 확장하게 하며, 확장된 공간의식을 바탕으로 현재 자신에게 가장 의미 있는 공간을 탐색하는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성격과 취향, 자신의 가치관과 삶의 태도 등을 성찰할 수 있다. 넷째, 공간에 대한 글쓰기는 안전하고 조용한 글쓰기 공간 안에서 내면의 억압된 것들을 자유롭게 표출하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들을 정리하게 함으로써 글쓰기의 가치와 치유적 효과를 경험하게 한다.
    이처럼 팬데믹 시대, ‘공간을 주제로 한 글쓰기’는 학생들에게 구속과 제약, 답답함이나 무료함 너머, 공간의 다양성과 가능성, 그리고 공간의 소중함과 중요성 등을 탐색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으며, 자신이 점유하고 있는 생활공간에 애착을 부여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주체성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presents a writing therapy class model of “space” in the pandemic era based on the awareness of two problems. First, psychological help is needed for those in their 20s who experience feelings of isolation and depression due to social distancing and disconnection. Second, college student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time at home or indoors during the pandemic. These problems have in common the fact that selecting “space” is necessary. This class model, which consists of four lessons,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four-step process of writing therapy. Chronologically, the process goes as follows: exploration of space in the unconscious through writing Chevena; exploration of topophilia in memory; expansion of spatial consciousness by sharing topophilia; and finding the most meaningful space at present and writing one’s impressions. As a result, we find the following.
    First, writing on the subject of space allows one to discover the space where one’s libido is most projected in the pandemic era. It also enables one to explore the actions and meanings in that space. Second, writing about topophilia conveys the importance and value of space by reviving memories and emotions about precious spaces of the past. Third, the memory of the spaces shared through conversation in class expands its understanding and depth. In addition, students can reflect on their personalities, tastes, values, ​​and attitudes toward life through activities that explore the space that is most meaningful to them now. Fourth, writing about space allows students to freely express their inner repressed feelings in a safe and quiet writing space, and by having students organize their thoughts and feelings, they experience the value and healing effect of writing.
    Thus, “space-themed writing” in the pandemic era will provid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diversity, possibilities, specialness, and importance of space, rather than the constraints and restrictions of and stuffiness and boredom brought about by the pandemic. Moreover, by making them attach themselves to the living space that they occupy,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their ide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