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팬데믹 시대, 도시브랜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What factors affect the perception of city brand in the era of Covid-19?)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1.08
35P 미리보기
팬데믹 시대, 도시브랜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 25권 / 3호 / 5 ~ 39페이지
    · 저자명 : 강명선, 박명환, 강주현, 황성욱

    초록

    이 연구는 긍정적인 도시브랜드 인식을 제고시키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그 혜안을 구하고자 도시계획, 보건복지, 시민단체, PR 등 여러 영역의 전문가들을 인터뷰하였다. 그결과 전문가들은 도시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안홀트의 여섯 가지 요인들(존재감, 생동감, 잠재력, 사람, 장소, 기초시설)을 중심으로 응답하였다(연구문제1). 다음으로 코로나19로 인한팬데믹 시대에 도시브랜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첫째, 감염병에 대한 성숙한 사회적 대응을 지목하였다. 한국은 국가적인 위기 극복 노력을 바탕으로 코로나19를 모범적으로 대처하였고, 국가브랜드 이미지의 향상을 가져왔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었다. 둘째, 안전성의 제고로 도시의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었다. 즉 정보의 투명한 공개를 통해심지어 코로나19가 지역사회에서 급속히 퍼져나가는 상황 속에서도 시민이 안심할 수 있어야한다고 답하였다. 셋째, 지자체장의 위기대응 리더십을 강조하였다. 급박한 상황 속에서도 지자체장의 위기의 심각성에 대한 빠른 판단과 대응 능력을 요청하였고 그 의사결정 과정 또한 민주적이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행정조직의 대응 능력이다. 행정조직은 지역민들에게 방역에대한 신뢰를 주어야 하고, 내부자와 외부자 모두에게 능동적인 홍보를 전개해야 한다(연구문제2). 나아가 이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도시브랜드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질문하였다. 응답자들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도시브랜드 관리 전략를 수립할 때 기존의 안홀트가제시한 여섯 개 도시브랜드 구성요인들에 부가적으로 두 가지 요인을 더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하나는 도시브랜드 이미지 관리를 위해 재난대응능력을 반드시 갖추어야 한다. 즉 체계적인 1, 2, 3차 의료 체계의 구축을 포함한 안정적인 의료시스템을 제공해야 하고 동시에 재난극복과 회복을 위한 리더의 능력과 결단력을 요청하였다. 두 번째, 스마트 소통이 필요하다. 사회 구성원 간의 재난재해에 대한 소통을 늘려나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취약계층이나 소외된 이웃들을 위한 소규모 지역 단위를 조성하고 각 분야의 소규모 공동체를 활성화해야 한다고주장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terviewed such various experts as urban planning, health and welfare, civic groups, and public relations in order to find out what kind of efforts should be made to enhance the image of a positive city brand. As a result, experts pointed out six factors underlying the city image based on Anholt's six dimensions(presence, pulse, potential, people, place, and prerequisites) (RQ1).
    Next, we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ity brand image in the untact era caused by Covid-19. First, interviewees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a mature social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Notably, South Korea responded to Covid-19 in an exemplary manner based on national efforts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Respondents insisted that such holistic national efforts brought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brand image. Second,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urban safety. In other words, they answered that citizens should be able to feel at ease through transparent disclosure of information even in situations where Covid-19 is rapidly spreading in local communities. Third,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leadership of local government in crisis. Even in an urgent situation,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should quickly judge and respond to the seriousness of the crisis, and the decision-making process should also be democratic. Fourth, respondents took a note of the ability of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o respond.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should give local residents trust in quarantine, and perform active public relations for both inner publics and external publics (RQ2). Furthermore, this study ask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ity brand image in the post-Covid19 era. Respondents argued that when establishing a city brand management strategy for the post-Covid19 era, two more factors should be paid attention to in addition to the six city brand components proposed by Anholt. At firt, local governments should be equipped with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in order to manage the image of the city brand.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table medical system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1st, 2nd, and 3rd medical system. At the same time, the leader's ability and determination to overcome and recover from disasters are required. Second, respondents emphasized the necessity of an advanced communication network. People should continue to actively communicate each other about disaster. In order to do that, respondetns argued that small regional units for the vulnerable or marginalized neighbors should be created and small communities in each field should be activ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