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분 미공개 관련 탈북학생들의 거짓자기 경험과 의미에 관한 연구 (Study of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False-self Experience and Its Meaning in regard to Undisclosed Identification)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6.12
19P 미리보기
신분 미공개 관련 탈북학생들의 거짓자기 경험과 의미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사회 21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 21 / 7권 / 6호 / 591 ~ 609페이지
    · 저자명 : 김병욱

    초록

    2014년 남북하나재단에서 진행한 탈북청소년 실태조사에 따르면, 탈북학생임을 밝히고 싶지 않다는 응답이 절반이상을 넘었으며 정착기간이 길어질수록 절대로 밝히고 싶지 않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이에 본 연구는 언젠가는 밝히고 싶어하는 탈북학생들의 또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자 했다. 신분 미공개와 관련한 탈북학생들의 거짓자기의 유형과 형성, 도덕적 책임여부, 거짓자기를 스스로 해소해 나가려는 긍정적 태도를 보여줌으로써 올바른 국가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방도를 밝히고 있다. 신분 미공개와 관련한 탈북학생들의 거짓자기는 탈북학생임을 무조건 부인하기와 탈북학생 관련 거짓정보 흘리기, 일체정보 없애기의 세 가지 행태로 나타났다. 이는 재북 시 강압적으로 형성된 거짓자기 일반이 입국 후 탈북자 신분공개에 따른 후유증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하면서 형성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연구결과, 탈북학생들은 신분 미공개와 관련한 행태의 유형에 무관하게 이것을 숨기는 것에 대한 자책감, 신분공개자들에 대한 선망을 느끼고 있으며 신분공개의 시점도 예상하는 등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탈북학생들의 이러한 긍정적인 태도가 ‘고향이 북한인 한국사람’의 정체성을 지향해야 하며 이를 돕는 것이 성인세대의 과제, 사회적 관심의 초점이라는 것을 밝히고 있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Hana Foundation in 2014, more than half of the defector students were unwilling to disclose themselves as ‘defectors,’ and the percentage of ‘will never disclose’ increased as the settlement in the South became longer. This study attempts to shed light on other side of the students who wish to disclose themselves at some point in their lives. It suggests ways to form a proper national identity by showing various types of false-self, existence of moral responsibility, and defector students’ positive attitudes of overcoming false-self.
    Students’ false-self regarding undisclosed identification were categorized into three behaviors: unconditional denial, spilling false information, and elimination of information. This is the result of coercibly made false-self during stay in the North which led to direct and/or indirect trauma of discloser after defection.
    The study shows that, in regardless of the undisclosed identification behavioral types, the students felt a sense of guilt toward themselves, and envy toward the ones who disclosed. They showed positive attitudes, such as supposing when to disclose themselves and etc.
    In this study proves that the defector students should maintain their positive attitudes which leads to the ‘South Korean came from North’ identity, and the older generation’s task and focus to help foster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 21”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