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양관할권의 확대 및 강화의 역사적 전개와 미중 양국의 갈등 (History of Creeping Jurisdiction and Thickening Jurisdiction — Conflicts over Maritime Issue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9.11
33P 미리보기
해양관할권의 확대 및 강화의 역사적 전개와 미중 양국의 갈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법학 / 27권 / 3호 / 407 ~ 439페이지
    · 저자명 : 이창위

    초록

    「해양관할권의 확대」와 그에 대한 저지 내지 반대는 연안국과 해양강대국의 대립이라는 해양법의 역사적 맥락에서 파악할 수 있다. 영해의 제도화와 그 범위의 확정, 대륙붕의 제도화와 확장, 배타적 경제수역의 확립 및 기타 추가적인 제도의 도입 시도가 모두 그런 연장선에 있는 것이다.
    해양관할권의 확대는 해양의 물리적 범위의 확대뿐 아니라 관할수역의 법적 성격을 둘러싸고도 진행된다. 예컨대, 연안국이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외국 선박의 군사활동이나 특정한 행위에 대한 규제를 확대하는 것을 그런 범주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혹자는 이를 배타적 경제수역의 「영해화」 내지 「영역화」 또는 「해양관할권의 강화」라고 부른다.
    해양강대국과 연안국은 이러한 해양관할권의 확대와 강화를 둘러싸고 대립하고 타협했다. 그러한 과정은 현재도 진행 중이다. 미국과 중국의 남중국해 분쟁도 그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남중국해에 대해 관할권을 주장하던 중국은 2016년 7월 유엔해양법협약의 분쟁해결절차에 의한 중재판정의 패소로 체면을 구겼다. 그러나 중국은 국제사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항해의 자유를 주장하는 미국과 지금도 대립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해양관할권의 확대 및 강화의 역사적 전개를 미중 양국의 갈등이라는 맥락에서 살펴본다. 해양관할권의 역사적 전개에 대한 검토는 전통적 해양강대국 미국과 신흥 해양강대국으로 발돋움하는 중국의 대립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참고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extension of maritime jurisdiction and opposition to it can be understood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law of the sea and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maritime powers and the coastal states. The extension is also called creeping jurisdiction. It includes institutionalization of the territorial sea and establishment of its breadth, institutionalization and extension of the continental shelf, introduction of the EEZ, and other attempts to establish additional maritime regimes.
    Creeping jurisdiction will proceed not only over the division of the ocean, but also over the legal status of the jurisdiction. For example, it may include measures imposing restrictions on foreign vessel’s military activities or specific actions therein. Specifically it is called a policy of territorialization of the EEZ or thickening jurisdiction.
    There have been continuing conflicts over the extension and strengthening of maritime jurisdiction between the maritime powers and the coastal states. The South China Sea dispute between the US and China may also be understood in that context. China, which had claimed jurisdiction over the South China Sea, was defeated at the arbitration case in July 2016 under the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In this regard, this article addresses historical development of creeping jurisdiction and thickening jurisdiction in the context of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Examining historical development of maritime jurisdiction will serve as an important tool for understanding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