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실러의 유희충동(Spieltrieb): 미적 주체와 정치적 주체의 사이에서 (A Study of Schiller’s Concept of Play Driv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2.09
31P 미리보기
실러의 유희충동(Spieltrieb): 미적 주체와 정치적 주체의 사이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38호 / 1 ~ 31페이지
    · 저자명 : 정진범

    초록

    이 논문은 유희충동 개념을 중심으로 실러의 미적 자유 이론이 갖는 정치철학적 함의를 탐구한다. 그 전제는 실러의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편지」가 미학을 매개로 한 정치적 주체에 대한 예비론이라는 사실이다. 그는 미학적 근본 개념들을 주관주의적, 미학적으로 다루는 것을 넘어 인간학적이고 정치적인 차원으로 확장하였기 때문이다. 우선 우리는 유희와 충동 각각에 대한 실러의 이해, 그리고 유희충동 개념 등을 차례로 탐색하면서, 유희충동이 결국 미적 자유에 대한 실러 고유의 표현임을 밝힐 것이다. 그리고 유희충동 개념이 주체 이론에 대하여 갖는 의미를 도출한 뒤, 이로부터 실러 미학의 정치철학적 성격을 해명하고자 한다. 실러의 유희충동은 감성과 이성이라는 인간의 두 본성 간의 균형으로부터 산출되는 제3의 충동, 혹은 균형 산출의 활동 자체로서, 미적 경험 속에서 비로소 활성화된다. 현실 속에서 인간은 두 본성 가운데 하나의 압도적 우세에 의해 지배되지만, 미적 경험 속에서 그와 같은 지배는 일시적으로나마 해소된다. 유희충동은 인간의 이중적 본성이 각자 고유의 논리에 따라 서로로부터 자유롭게 전개될 수 있는 상태를 가리키는 말이자, 동시에 인간이 자신을 지배하던 충동들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상태를 가리키는 말이다. 따라서유희충동 속의 미적 주체는 탈중심적이고 탈주관적인 성격을 갖는다. 미적 주체는 실천적으로 무능력하기에 현실 정치에 곧바로 개입할 수 없지만, 바로 이 무능력 속에서 정치적 실천을 위해 준비되어 있다. 그것은 미적 경험을 통해 지배로부터의 해방을 경험하고, 지배 아닌 다른 관계의 능력을 연습하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미적 주체의 자유는 현실을 지배하는 기존 질서에 대한 잠재적 저항이다. 그러나 이런 독해가 곧 미학의 도구화를 뜻하는 것은 아니다. 정치 또한 총체성의 미적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다. 미학과 정치는 서로를 지시하고 서로를 요구하지만 여전히 이질적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olitical-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Schiller’s theory of aesthetic freedom focusing on the concept of play drive. It is assumed that Schiller’s “Letters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is a propaedeutic to the political subject by means of aesthetics, because he has expanded the basic aesthetic concepts beyond the subjective-aesthetic boundary to the anthropological and political level. First, Schiller’s own understanding of play and drive, and the concept of play drive will be examined. It becomes clear that the play drive is Schiller’s own expression of aesthetic freedom. And after the meaning of the concept of play drive for the subject theory has been derived, the political-philosophical character of Schiller’s aesthetics should be explained from it. Schiller’s play drive is the third drive produced from the balance between the two human natures of sensibility and reason, or the balancing act itself, and is only activated in aesthetic experience. In reality, humans are dominated by the overwhelming dominance of one of the two natures, but in aesthetic experience this dominance is temporarily dissolved. The play drive refers to the state in whice the dual nature of human beings can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ir own logic while being free from each other, and it refers to the state in which human beings are freed from the drives that have dominated them. Therefore, the aesthetic subject in the play drive has a decentralized and desubjectivated character. Although the aesthetic subject cannot practically intervene in real politics in a direct sense, it is prepared for it in an indirect sense. This is because it is liberated from domination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and practices the faculties power of relationship rather than domination. In this sence, the freedom of the aesthetic subject is a potential resistance to the existing order that dominates reality. However, this reading does not claim that aesthetics by Schiller is instrumentalized for politics. Politics is also a means to realize aesthetic idea of human totality. Aesthetics and politics point to and demand each other, but are still heterogeneo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