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몽주 시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미적 특질 (A Study on Aesthetic properties and figuration of death in JungMongJu’s poetr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2.12
32P 미리보기
정몽주 시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미적 특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포은학회
    · 수록지 정보 : 포은학연구 / 10권 / 1 ~ 32페이지
    · 저자명 : 하정승

    초록

    중국이나 한국의 한시사에서는 망자의 죽음을 다룬 시들을 따로 구별하여 ‘挽詩’라고 불러왔다. 만시는 일반적으로 다른 이의 죽음을 다룬 것이 많지만, 간혹 시인 자신의 죽음을 미리 예측하거나 애도하는 의미로 쓴 경우도 있는데, 이를 특별히 ‘自挽詩’라고 부른다. 고려시대에도 초창기부터 만시는 꾸준히 지어졌는데, 전반기의 대표적인 시인으로는 김부식을 들 수 있다. 고려중기 이후로 시인의 수가 많아지고 다양한 경향의 시들이 창작되면서 만시는 더욱더 많은 시인에 의해 다뤄지게 되었으니, 문학사에 등장하는 저명한 시인치고 만시를 짓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로 만시 창작은 시인에게 있어서 보편적인 일이 되어 버렸다.
    만시는 시문학의 여러 장르 가운데에서도 가장 애절하고 비통한 시다. 삶을 마감한 망자에 대한 추억과 감흥을 다룬 것이기 때문이다. 죽음이 인생에서 차지하는 중요한 비중만큼이나 중국과 한국의 한시사에서 만시는 시인들의 주된 창작 영역으로 자리매김 해왔다. 한국 한시사에서는 일찍이 김부식을 시작으로 만시 창작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 후 이규보, 최해, 이제현, 이곡 등을 거쳐 목은 이색에 이르러 고려시대 만시 창작은 정점에 이른다. 그리고 정몽주, 이숭인, 김구용이 그 뒤를 계승하게 된다.
    포은 정몽주는 평생을 종군과 외교의 현장에서 활동하였기에 가족과 떨어져 지낸 경우가 허다하였다. 여진이나 왜와의 긴박한 전장터, 중국에 사행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거센 풍랑을 만나 거의 죽을 뻔했던 일, 일본에 붙잡혀간 사람을 구출하기 위해 떠난 매우 위험했던 일본 사행 등 죽음의 순간을 무수히 많이 경험하였다. 포은시를 정독해보면 이같은 죽음의 모습이 시에 자주 보인다. 죽음의 위기 앞에서 한 인간이 느끼는 두려움과 외로움, 슬픔 등이 미적으로 잘 승화되어 나타나 있다. 이는 그 시들이 포은의 치열하고 지난한 삶에 바탕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포은시에는 본인의 죽음뿐만 아니라 다른 이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 쓴 ‘만시’도 역시 보인다. 포은 만시는 다른 시인들의 작품에 비해 매우 서정적이고 슬픔의 정서를 훌륭하게 형상화 내었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이는 포은의 시인으로서의 재주와 수준이 매우 뛰어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The poems dealing with the subject of death have been called ‘Mansi(挽詩)’ in the history of Chinese or Korean literature. ‘Mansi(挽詩)’ generally deals with the subject of other persons' death. But from time to time some poems of ‘Mansi(挽詩)’ deals with the poet's own death. These poems represent prediction and condolences about his or her own death. They are specially called ‘Jamansi(自挽詩)’.
    ‘Mansi(挽詩)’ has been constantly written since early Korea Dynasty. Kimbusik is a representative poet of the first half of the period. From the middle of the Korea Dynasty the number of poet and the variety of poem increased. According to the current of the times more and more poets came to work on ‘Mansi(挽詩)’. So most of famous poets in Korea Dynasty created ‘Mansi(挽詩)’. ‘Mansi(挽詩)’ is most bitter and sorrowful in many genres of literature. Beacause the poems describe the memory of and longing for the dead. Death forms a great part of life. Equally, ‘Mansi(挽詩)’ accounts for a great part in the history of Chinese or Korean literature.
    The creation of ‘Mansi(挽詩)’ was kicked into high gear by Kimbusik. Then many poets such as Leekyubo, Choihae, Leejaehyon, Leegok wrote ‘Mansi(挽詩)’. It peaked in poems written by Leesack. And Jungmongju, Leesungin, Kimguyong succeeded to the them.
    Poeun-Jungmongju devoted his lifetime to the field of diplomacy and national defense. So he has been away from his family for a long time. When he went through other countries and battlefields, he watched the moment of death many times. Poeun used these experiences in his poetry. His feelings such as fear, loneliness, sadness are expressed very well aesthetically. That's because his poetry is based on his hard life. He sang of other person's death as well as his own death. Poeun's ‘Mansi(挽詩)’ is very lyrical and especially feelings of sadness are finely imaged. These facts showed Poeun is excellent po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포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