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쉴러의 『인간의 미적교육』에 나타난 ‘놀이’의 의미 (The meaning of play in Schiller's Über die ästhetische Erziehung des Menschen in einer Reihe von Briefe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08.06
28P 미리보기
쉴러의 『인간의 미적교육』에 나타난 ‘놀이’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연구 / 54호 / 249 ~ 276페이지
    · 저자명 : 기정희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쉴러의 인간의 미적교육에 나타난 놀이의 의미를 해명하는 것이다. 쉴러는 인간의 미적교육에서 인간성의 이념을 해명하기 위하여, 인간성의 속성으로 질료충동과 형식충동이라는 두 기본충동을 설정하고, 인간성의 통일은 그 두 충동이 조화롭게 결합된 놀이충동에 의해서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는 놀이충동에 의해 놀이할 때의 인간을 완전한 인간으로 규정하고 그리스인을 그 전형으로 제시하였다. 쉴러는 칸트가 제시한 인식능력들의 놀이를 인간행위의 놀이로 확장하며 주객이원론의 극복을 시도하였다. 또한 그는 일상적인 공상의 놀이로부터 예술의 창조와 관조라는 미적놀이에 이르는 놀이의 위계를 설정하였다. 미적놀이는 현실적 행위로서 미적놀이의 역동성을 의미하는 상호작용이라는 개념으로 대변된다. 그리고 쉴러는 놀이에 잉여라는 새로운 성질을 부여함으로써 놀이의 영역을 인간의 영역뿐만 아니라 자연계로까지 확대하는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요컨대 쉴러가 인간의 미적교육에서 기획한 것은 미적놀이를 통한 인간성의 교육이었고, 그 의도는 근대사회의 분업화와 전문화가 초래한 분열로 고뇌하는 근대인들에게 조화로운 전체성을 회복시키는 것이었다. 쉴러는 미적놀이를 근대사회의 페시미즘적 상황을 치유하는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하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play in Über die ästhetische Erziehung des Menschen in einer Reihe von Briefen(1795) by Johann Christoph von Friedrich Schiller.
    Schiller classified the basic impulses of man into sensuous material impulse and rational form impulse to account for the idea of humanity in his work. He insisted that aspects of humanity were unified by the play impulse which was a product of the harmonious combination of the two impulses. When ruled by the play impulse, a human being becomes an aesthetic being. He found the model of an ideal aesthetic man from the ancient Greeks.
    By extending the concept of Kantian play of cognition faculties to the play of human action, Schiller attempted to overcome dualism of subject and object. And he ranked play from a everyday fantasy play to an aesthetic play of creation and contemplation of art. An aesthetic play as a realistic act is represented as an interaction with two impulses, which explains the dynamic quality of aesthetic play. Schiller made way for the enlargement of the field of play, which could reach out to the world of nature as well as human beings, by giving play a new nature of surplus.
    In conclusion, Schiller wanted to educate humanity through aesthetic play, in other to recover modern man's totality confronted by the division and specialization of labor in modern society. Schiller presented aesthetic play as the healing device for the pessimistic condition of moder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