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메시스적 예술가, 채플린: 아도르노의 「두 번의 채플린」 분석 (The Analysis of Chaplin’s Mimetic Performance in Adorno’s “Zweimal Chapli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2.09
32P 미리보기
미메시스적 예술가, 채플린: 아도르노의 「두 번의 채플린」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회
    · 수록지 정보 : 美學(미학) / 88권 / 3호 / 87 ~ 118페이지
    · 저자명 : 서현정

    초록

    잘 알려지지 않은 글인 「두 번의 채플린」에서, 아도르노는 할리우드 황금기에 가장 대중적이고 상업적인 영화들로 전성기를 누렸던 채플린에 대해 비판적이지 않은 어조로 서술한다. 이 글이 독특한 점은, 가장 유명한 영화배우를 다루는 내용임에도 기존의 그의 영화 논의들과 상충된다는 사실이다. 대중문화를, 특히 영화를 문화산업의 주요 산물로서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문화산업론의 관점이나 유럽의 비상업적인 작품들을 중심으로 영화를 미학적으로 다루는 그의 영화미학의 관점에 비추어 보아도, 이 글은 그의 어느 특정 논의에도 완전히 편입되기 어려운 독특한 위치에 있다. 이처럼 아도르노 철학에서 그 위치와 의미가 충분히 밝혀지지 않은 이 글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은, 그가 채플린을 대중문화의 산물이 아닌 예술가의 지위에서 바라보기 때문이다. 이로써 그가 대중문화 안에서도 예술적 계기를 발견하고 구제하는 작업을 실천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는 스크린의 ‘떠돌이’ 채플린과 실제로 만나보았던 ‘경험적 채플린’을 구분하여 분석하는데, 그 간극에는 ‘미메시스’가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한다. 아도르노 철학에서 핵심적인 개념인 미메시스를 통해 채플린을 예술가로 규정하고 구제하는 그의 분석을 통찰한다.

    영어초록

    In his lesser known essay “Zweimal Chaplin”, Adorno writes about Chaplin, who had his heyday in his most popular and commercial films during the golden age of Hollywood, in an uncritical tone. In consideration of his Culture Industry theory, which criticizes films as the most typical and ideological products of mass culture, it is unusual that he analyzes the best known movie star without much criticism. What makes the essay more distinctive is that, it is incompatible with his film aesthetics, which deals solely with European noncommercial films. If neither his Culture Industry theory nor film aesthetics can be a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essay, how can the significance of the essay within his philosophy be defined? Ironically, he regards Chaplin not as a sheer product of culture industry but as an artist. It demonstrates that he finds artistic moments even in mass culture and redeems them. With two distinct fragments “Prophezeit von Kierkegaard” and “In Malibu”, one is about Chaplin as ‘the Tramp’ on screen and the other ‘empirical Chaplin’ that he has seen once in person, he explores the process of Chaplin becoming the Tramp and the characteristics of his performance. In his analysis, mimes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in his philosophy, turns out to be the key concept to understand Chaplin’s unique performance. In the basis of Adorno’s mimesis, the essay gives us an insight into Chaplin’s artistic perform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美學(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