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의 기준과 공간 특성의 상관관계에 대한 역사적 연구 (A Historical Research on Correlation between the Standard of Beauty and Spatial Characteristics)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0.12
9P 미리보기
미의 기준과 공간 특성의 상관관계에 대한 역사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권 / 6호 / 141 ~ 149페이지
    · 저자명 : 이철재

    초록

    미는 시대에 따라 그 기준을 달리하면서 변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사람들은 그들이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대상들에 대해서는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다. 고대로부터 인간의 모습과 자연에서 아름다움을 찾았고, 무엇보다도 그들의 비례관계에서 아름다움과 절대적 미의 기준을 정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미의 기준들은 문화 전반에 영향을 끼침으로써 동시대에는 의복, 장식 등 동일한 미의 기준이 적용된 문화 형태로 표현되었다. 물론 건축공간은 그 공간의 특성 및 상징성 등 때문에 더욱 이러한 미의 기준이 적용된 문화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논문은 수 세기에 걸친 미에 대한 사상을 개관(the outline; the general survey view)해 봄으로써, 어떤 특정한 문화 또는 역사적 시기에서 우리의 욕망과 무관하게 형성된 미의 기준을 분석하여 건축공간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아름다움이란 절대 완전하고 변경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역사적인 시기와 장소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건축 공간은 이러한 미적 아름다움에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고자 한다.
    비록 미의 기준과 공간 특성의 관계를 산술적이고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는 없겠지만, 이들 간의 분명한 상관관계를 포착하고 역사적 사실로써 증명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라 하겠다.
    연구의 범위는 첫째 미의 기준이 변하면 공간이 변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서, 미의 역사 중 비례를 신봉하였으나 조금씩 비례에 대한 견해가 차이가 공간에 영향을 미친 시기로 고대 그리스,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둘째 당대의 미의 기준으로 등장하는 다양한 조건들 중 논리적인 해석이 가능한 ‘비례와 조화 미’, ‘여성미 및 남성미’, 그리고 미학적 관점인 ‘객관주의와 주관주의 논쟁’에 대해서 시대적 특성과 함께 선정된 시기의 미의 기준과 공간 특성의 관계를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 범위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
    첫째 그리스를 시작으로 전반적인 미의 역사와 미의 기준 및 과학패러다임에 대해 비례와 인물 중심으로 살펴본다. 둘째 미학사적인 관점에서 미에 대한 주관주의 및 객관주의적인 접근 방식에 대해 살펴본다. 셋째 우선 상기의 결과로 미의 기준과 건축 공간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넷째 미와 공간의 역사적인 관계를 확인 후 그리스,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를 중심으로 상관관계를 재확인함으로써 논문을 진행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designed to take a close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space through the standard of beauty, which has been created apart from our desires at certain cultural or historical periods of time. It will try to construct the outline of conception about the beauty throughout many centuries.
    First of all, contents of the research will focus on the aspects, which people have been considering as beauty eversince the ancient time without having any assumptions on its concept. For example, if the beauty of art has been accepted by the theories of modern aesthetics while degrading the beauty of nature, its value could have possibly been much more appreciated.
    The standard of beauty has been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in such history of mankind. The general standard of beauty,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ancient time was the proportion and harmony between many elements. Afterwards, beauty was expressed as colors and light in medieval times. Expression of beauty using ugly features such as monsters or demons also existed at the time. Beauty has been periodically developing from supernatural to gracious, rational, noble, romantic, religious, mechanical, and today's media.
    The concept of beauty established from the above has been appearing throughout various culture such as dress and decoration at the given period of time. It would later affect the formation of space as well as decoration for architectures and styles. It will be analyzed throughout the five design elements; style, composition, materials, components, and form.
    The thesis would like to find the spatial order of beauty from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analysis will examine the possibility for which the recomposition of beauty will be provided as a design process for the new era. The Greek beauty represents a shape. The shape represents proportion and the proportion represents given numbers. However, beauty is being expressed by the opposite process at the present time. In other words, computers will arrange the numbers, which would formalize the proportion between the numbers. Beauty would be presented when the shape is presented as certain for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