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李崇仁 시에 나타난 唐詩風 경향과 미적특질 (The Tang’s poetical style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appeared in Leesungin’s poetr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4.08
35P 미리보기
李崇仁 시에 나타난 唐詩風 경향과 미적특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9권 / 319 ~ 353페이지
    · 저자명 : 하정승

    초록

    陶隱 李崇仁은 한국한시사에서 가장 감각적인 시를 섰던 시인 중의 한 사람으로 판단된다. 그런데 이 감각적 아름다움은 주로 표현기법과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그 표현기법의 핵심은 감각적인 이미지의 구사에 있다. 이숭인은 이미지 구사에 탁월한 시인이었다. 이숭인이 구사하는 이미지는 시각, 청각, 후각, 촉각을 아우르는 공감각적 이미지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이미지들은 시각적 요소가 강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이숭인 시의 이미지들은 단순히 그림을 그려내는 것에 머물지 않는다. 그의 시에는 시각을 비롯한 여러 가지 감각적 이미지들이 서로 얽혀서 하나의 의미를 지니는 이미지의 그물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이미지의 그물에는 시인이 의도한 詩意가 담겨있기에 그것은 단순한 이미지가 아니라 전통적인 한시 작법에서 이야기하는 ‘意象’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고에서는 감각적인 이숭인 시의 기저에 哀傷感이 깊게 자리잡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이숭인은 그러한 감각의 미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서 짜임새 있게 시를 배치한다. 즉 그의 시에는 감각미와 구성미가 어우러져 있다.
    도은의 감각적인 시쓰기는 한시사적인 면에서 보면 唐詩風의 도입과 관계되어 있다. 이숭인은 고려시대의 시인들 중 정지상, 정몽주, 김구용과 더불어 가장 당시풍적인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한국한시사에서 고려시대의 시풍은 이미 신라후기에 도입된 만당풍의 면모와 송시풍적인 요소를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고려후기 한시사에서 당풍적인 요소가 어떤 시인들에 의해서 어떻게 전개가 되었으며, 그 문학적 특징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아울러 고려시대의 이러한 시적 경향을 대표하는 것으로 보여지는 이숭인 시문학에 있어서 당시풍의 면모가 어떻게 나타나 있는 지를, 특히 감각적 이미지 구사와 연관하여 도은시의 두드러진 표현기법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한국한시사에서 당시풍의 史的 흐름을 알기 위해서는 唐風의 시를 도입하고 발전시켰던 고려시대의 시를 고찰해 보아야 한다. 더욱이 고려시대 당시풍 시를 창작한 시인들 중 가장 두드러지는 사람 가운데 한 명인 이숭인 시에 나타난 당풍의 모습과 그 특질을 살펴보는 것은 당시풍의 史的 전개양상 연구에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 생각된다.

    영어초록

    Doeun-Leesungin is considered one of the poets who wrote sensuous poetry in the history of Korean Chinese poetry. That is because his way of expression possesses sensuous beauty.
    He has much skill in a command of imagery. His imagery is synaesthetic-a mixture of foure senses(sight, hearing, touch, smell, and taste). In particular, visual images are the critical element in his imagery. But his imagery is well beyond drawing pictures and like a net woven from many different kinds of sensuous images. That net is not simple collection of images since it connotes multiple meanings. It is closely connected to ‘eusang(意象)’, which equals images in oriental style of aesthetic terms.
    In this thesis, I look at pathos expressed through his imagery. His poems have a well-organized plot to show sensuous beauty effectively. In other words, sensuous beauty mixes well with architectonic beauty in his poems.
    Doeun’s sensuous mode of writing poetry is relevant to the introduction of Tang’s poetical style. His poems have Tang’s literature-influenced element over most along with poems written by Jungjisang, Jungmongju, Kimkuyong. The poetry of the Goryeo Dynasty has a poetical style of late Dang dynasty and also a poetical style of Song dynasty in Korean traditional literary history. This trend of poetry creation had been handed down since Unified Silla Period.
    This thesis examines who adopted a poetical style of late Dang dynasty to his poetry creation in the history of Goryeo literature. In order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 of this trend more specifically, I would like to focus on a poetical style of late Dang dynasty showed in Leesungin’s poetry, which has to do with the expression of sensuous images.
    A study on poetical style of Tang dynasty introduced into Koryo could help know such poetical style’s change and development in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Increasingly, it is imperativ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a poetical style of late Dang dynasty in Leesungin’s poetry. Because he is the representative poet who wrote poems pursuing the Tang’s poetical style in the history of Korean Chinese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