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창작춤 방법론을 위한 미쟝센 개념 적용 (Application of Mise-en-scéne Concept for Methodology of Hanguk chanjak Chum)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09.03
33P 미리보기
한국창작춤 방법론을 위한 미쟝센 개념 적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무용역사기록학 / 16권 / 173 ~ 205페이지
    · 저자명 : 윤수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창작춤이 시간과 공간의 변화에 따른 동시대적인 무대표현을 지향하면서 새로운 미적범주가 필요하다는 자각과 함께 새로운 내용과 형식에 따른 춤 스타일화에 있어서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을 위해 미쟝센이라는 서양적 용어와 개념을 빌어 하나의 틀을 제시해 방법론적 탐색을 모색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쟝센이란 타 예술장르에서 이미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용어와 개념으로 본 연구에서 이를 도입하여 한국창작춤 무대에서 표현되는 미학적, 기술적 측면과 신체의 조형성과 상징성에 접근한다. 미쟝센은 보편적으로 한 장면 내의 요소들, 즉 극적인 동작을 둘러싼 물리적 환경을 일컫는 용어와 개념으로 이를 통해 창작자는 자신만의 고유한 스타일을 양식화 한다. 이런 양식화의 과정은 자신만의 스타일을 통해 차별성을 강조함으로써 창작자와 수용자 사이에 있어 진정한 소통의 방법을 강구 하고자 하는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소통의 단절로 인해 정체성의 위기에 봉착한 한국창작춤에 있어서 관객과의 진정한 소통은 물론 세계와의 소통 진작을 도모하기 위해 미쟝센의 용어와 개념을 빌어 적용시켜 보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창작춤은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괄목할 만한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질적인 면에서 답보적인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는 다양한 원인의 복합적인 이유에서 연유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연구자는 한국창작춤이 다양성의 수용이라는 명목 하에 표현하는 무대언어의 혼란으로 인한 소통의 단절이 주된 원인이라 판단하고, 한국창작춤에 있어 보편적 소통 관계 방식을 위한 미적사고의 재정립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논의의 전개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미쟝센의 용어와 개념정리를 통해 동서양의 미적사고의 차이와 유사성을 비교 한다. 비교분석을 통해 사고체계가 문화표현에 있어서 태도, 신념, 가치, 선호와 상징 등과 같은 것들이 민속심리적인 특성에 어떤 모습으로 작용하는지 살펴보는 기회를 갖는다. 이와 같은 논의는 필연적으로 한국적인 미란 무엇이며, 한국적인 미에 대한 상징체계와 기호, 이미지는 급변하는 시대적·사회적 분위기에도 흔들림 없이 어떻게 그 위상을 지니는가에 대해 간략한 논의로 이어진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안무자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다양성의 수용과 포용이라는 관점으로 양식화하는 과정 속에서 최근에 행해지고 있는 한국창작춤이 어떤 특성과 경향을 나타내면서 관객과 소통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탐색해 본다. 이를 통해 정체현상을 겪고 있는 현실에 대한 대안 마련을 방법론적으로 제시 한다.
    한국창작춤의 방법론적인 모색으로 도입된 미쟝센의 개념은 단지 시각적인 면에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 공간에 대한 상징과 기호체계를 포함하고 있기에 이에 대한 접근은 보다 더 심도 있게 접근되어져야 한다는 판단이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첫 시도이며, 본 연구를 시발점으로 하여 한국창작춤과 미쟝센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이며 본격적으로 논의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eks a methodological search that presents a frame using a western terminology and concept ‘mise-en-scéne’ for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ancing stylization according to the new content and style, with the awareness of necessity of a new aesthetic category, supporting the Hanguk chanjak Chum 's contemporary stage express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and space. Mise-en-scéne, which is a commonly used terminology and concept in other art genres, is introduced into this study to approach the aesthetical and technological parts and physical modeling and symbolism that are exhibited in the Hanguk chanjak Chum stages. Generally mise-en-scéne is a terminology and concept that explains the factors within a scene, or the physical circumstance surrounded by dramatic motions; through this, the creator stylizes his or her own style. Such process of stylization came from the deliberation of true communication through differentiation. Any art besides dancing art ultimately aims at interaction with others; not only the true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but also the interactive promotion with the world, is being applied using the terminology and concept of mise-en-scéne. Despite the remarkable quantitative growth of the Hanguk chanjak Chum within a comparably short period of time, it is remaining standstill in terms of its quality. This comes from complex causes from different reasons. However,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stresses the reformation of aesthetic thinking for universal interactive relation style of the Hanguk chanjak Chum under the judgement that the Hanguk chanjak Chum is the main cause of interactive disconnection due to the confusion of stage language expressed under the purpose of accepting diversity.
    The process of developing such argument is shown as follows. First, compare the different and similarity of the eastern and western aesthetic thinking through arranging the terminology and concept of mise-en-scéne. Such comparison and analysis provides an opportunity to look at how thinking paradigm, in such cultural expressions as attitude, belief, value, preference, etc., functions to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rgument, by necessity, moves on to concise discussion about what Korean styled beauty is, and how it sustains its contemporary position without turbulence in the middle of such atmosphere in which symbolic paradigm, preference, image of the Korean styled beauty rapidly change. And based on this, search for, in the process of stylization, how the contemporarily performing Hanguk chanjak Chum interacts with the audience with what characteristics and trends from the perspective of accepting and embracing diversity, and present alternatives methodologically for its reality of congestion phenomenon. Since mise-en-scéne, which was introduced as the methodological search, is not limited just to visual aspects but it also includes symbols and signal paradigm about psychological space, its approach should be made more in-depth.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making the first attempt for th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무용역사기록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