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신밟기에 담긴 ‘벽사진경(辟邪進慶)’의 미적 의미 (A Study on Aesthetic Meaning of ‘Byeoksajingyeong’ Intrinsic to ‘Jisinbapgi’)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5.06
34P 미리보기
지신밟기에 담긴 ‘벽사진경(辟邪進慶)’의 미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미학회
    · 수록지 정보 : 민족미학 / 14권 / 1호 / 107 ~ 140페이지
    · 저자명 : 김재홍

    초록

    본 연구는 공동체의 새로움을 맞이하는 집단 행사이며 동시에 개인의 바람을 기원하는 ‘지신밟기’에 대한 미학적인 고찰이다. 지신밟기는 해가 바뀌는 새해의 들머리에 통과의례로서 집단 구성원 또는 초청된 예인이 주축이 되어 한 해 동안 마을과 가정의 안녕을 비는 제의(祭儀)이자 놀이라고 할 수 있다.
    지신밟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행되므로 순차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벽사(辟邪)’와 ‘진경(進慶)’이라는 끊어질 수 없는 동시적인 형식구조와 미적체험이 지속적으로 반복되어 나타난다.
    벽사의 미적체험은 연행자와 향수자가 더불어 같이 판을 정갈하게 씻어내는 체험으로 이어간다. 또한 진경의 과정을 통해 연행자와 향수자는 현실의 욕구와 새로운 변화를 나누는 동반자로서의 체험을 하게 된다. 이 과정은 각각의 미적주체인 연행자와 향수자가 교호작용하여 그 경계가 허물어지는 생성적인 미적체험이다. 앞날에 대한 기대와 함께 불안감의 해소를 공동으로 진행하는 미적체험은 개인적인 체험에서 점점 더 집단적인 체험이 되어간다. 지신밟기가 계속 이어지며 미적체험은 확산된다. 이러한 미적체험의 지속적인 확산은 순환적으로 엮여 보다 더 큰 놀이판을 통하여 사람들에게 일상으로부터 집단적 해방감을 맛보게 한다.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지신밟기를 통해 공동체 신명으로 만들어지는 생산과 삶의 힘으로 다가오는 현실과의 싸움을 주도적으로 맞이하게 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siders the aesthetics of ‘Jisinbapgi,’ a collective ritual annually taken place within local communities in Korea to bring a moment of revitalization into community and provide a place for individuals to wish for their state of contentment with the arrival of a new year. Comprehending features of both ritual and play, this customary ritual, mainly led by either ritual performers or community members, reflects the desires for social stability and domestic bliss.
    Jisinbapgi proceeds in consecutive order, however the components of the process, ‘Byeoksa’ and ‘Jingyeong’ are ironically constructed in a concurrent and repetitive structure.
    Byeoksa encourages an aesthetic experience of healing and cleansing through an interaction between the performers and spectators. In the mean time, Jingyeong reinforces a companionship between the performers and the participants while they share the realistic desire and the moment of revitalization. During the course of nature, the interactive ritual chains ultimately break down the intervening barrier between the participants. Consequently, each individual course of action fosters the emergence of a collective aesthetic experience. As jisinbapgi continues, the aesthetic experience spreads down to the audiences. As this aesthetic cycle continually repeats itself, the collective emotions reach to a sense of deviation from a daily routine. Accordingly, this transforming experience contributes to reinforcing one's sense of initiative in life as well as restoring coherence within the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