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적 교육의 관점에서 본 존 듀이의 미학 (John Dewey’s aesthetics on the perspective of aesthetic education)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4.06
40P 미리보기
미적 교육의 관점에서 본 존 듀이의 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회
    · 수록지 정보 : 美學(미학) / 78호 / 67 ~ 106페이지
    · 저자명 : 김연희

    초록

    이 논문은 프래그머티즘 미학의 완성자인 존 듀이의 미학이 1960년대 이후 미국에서 전개된 미적 교육론의 철학적 배경이 된다는 점을 밝힌다. 전체론적 프래그머티즘의 관점에서 정서와 인지, 예술과 과학의 이분법을 부정하는 듀이의 미학은 굿맨에 앞서 예술인지론의 선구자로서 자리매김한다. 미적 경험의 생생함을 유지하면서도 미적 문해의 개념을 주장하는 현대 미적 교육론의 주장들은 전통적인 미적 경험의 개념 속에서는 대단히 모순적인 이론으로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듀이의 미학은 미적 경험의 생생함 속에서 미적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적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이러한 점에서 듀이의 미학에는 미적 경험과 미적 문해가 양립 가능한 미적 교육의 문제를 제기하며, 동일한 맥락에서 생생한 미적 경험을 유지 하면서도 정서의 인지기능을 통한 이해의 증진을 주장하는 넬슨 굿맨의 인지주의미학을 선도했다는 점을 밝힌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arts with the premise that John Dewey’s pragmatist aesthetics has been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middle-later 21th american aesthetic education theorists. Their foremost goals should be to look forward to a society in which all individualse visually literate and aesthetically sensitive to their environment at least as much as is possible considering any individual’s potentialities.
    Dewey’s main concern throughout his career was with the problems of man and the solution of these problems. In this paper I shall attempt to show how Dewey faced the problem of aesthetic education and apply the findings specifically to the problem of teaching which is commonly called “appreciation” of fine arts. Dewey views the fine arts as essential aspects of education and as “the chief agencies of an intensified, enhanced appreciation.” From this view, we can find that Dewey notes the instrumentality of the fine arts. Dewey assumes that the method of intelligent perception(discrimination and unification as the form of perception) and the act of aesthetic appreciation are not opposed. Dewey’s idea of aesthetic criticism suggests the unification of criticism as a judgement and aesthetic appreciation of arts. The road to appreciation of any art is not an easy one and the teacher’s role is important. From Dewey, aesthetic criticism is the “reeducation of perception” and a critic is a teacher. To learn to see anything well is a difficult undertaking, it requires the activity of the whole personality. Learning to perceive demands the interaction of the whole personality with things about it. Intelligence is only manifested in doing as interaction. Imagination is closely allied with interest and emotion in that all contribute to the integrity of an experience, to that is characteristic of all experience and that is to be found most completely in an aesthetic experience. 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美學(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