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래시대를 대비한 한문교육의 혁신 방안 (A Plan for Innovation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4.12
33P 미리보기
미래시대를 대비한 한문교육의 혁신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敎育論集 / 63호 / 5 ~ 37페이지
    · 저자명 : 김용재

    초록

    주기마다 일어났던 산업혁명(1∼4차)은 우리 인류에게 크나큰 변화와 부단한 대응을 요구해 왔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진입하면서, 전 인류는 그 어느 때보다 긴장하고 있다. 왜냐하면 4차 산업혁명은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등장시키면서 새로운 직업群을 양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직업군’의 변화에 대처할 영역으로 ‘교육’의 중요성도 더욱 부각되고 있다. 다보스 포럼에서 발표한 ≪미래고용보고서≫에 따르면, 결국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견한다. 가장 본질적인 변화는 학습자에게 더 이상의 ‘지식’이나, 혹은 ‘지식을 전달하는 방법’이 교육의 주안점이 되어서는 아니 된다는 점이다. 이제 교육의 관건은 학습자에게 ‘역량’을 강화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예컨대 학습자는 이미 수많은 정보ㆍ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준비되어 있으니, 어떤 상황이나 문제에 봉착했을 시, 이를 본인이 가지고 있는 정보와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창의력’(역량)을 적재적소에 얼마만큼 활용할 수 있는지가 인재 양성의 가늠자가 되었다.
    그러면 과거의 기록유산과 문화유산을 가르치는 ‘한문교육’의 미래는 어떻게 부응해야 할까? 이 글에서는 그 대안으로 <2022년 한문 교육과정> 중, <한문>과 <언어생활과 한자> 과목에서 다뤄질 수 있는 ‘역량’ 강화의 가능성을 몇 가지로 제언하였다. 첫째, 창의성 배양의 사례, 둘째, 트랜드에 부합할 만한 현재적 가치가 담보되어야 할 교과 내용, 셋째, 혼종어와 번역어 등을 통한 동ㆍ서양 문화의 융합적 사고 역량, 넷째, 상황변화에 따라 학습자는 한문 지식을 어떻게 활용하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의 역량, 다섯째, 협업과 프로젝트 중심의 한문교육을 통해 소통 역량의 강화 등에 대해 언급하였다. 끝으로, 아직 우리 한문 교과에는 도입되지 않았지만 ‘AIDT(Artificial Intelligence Digital Textbook)’에 대한 우려와 대안 등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영어초록

    The Industrial Revolution (1st to 4th), which took place every cycle, demanded significant changes and constant responses from our humanity. For example, the ‘machine’ civilization during the first industrial revolution induced a change called ‘urbanization’ by mass-producing new classes of capitalists and workers socially. The invention of ‘electricity’ during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accelerated the polarization phenomenon by bringing about a ‘corporate’ centered society by combining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In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based on computers and the Internet made all mankind a ‘global network’, and at the same time, the digital and automation system signaled the prelude to a ‘infinite competitive society’. And the current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mass-producing new jobs by introduc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owever, what cannot be overlooked is that the importance of ‘education’ is put forward as an area to cope with changes in the type of ‘occupation’. According to the “Future Employment Report” released at the Davos Forum, it was predicted that the ‘paradigm of education’ would eventually change. The most essential change is that no more ‘knowledge’ or ‘how to convey knowledge’ to learners should be the focus of education.
    Now, the key to education is that learners need a way to strengthen their ‘competence’. For example, learners are already prepared based on a lot of information and big data, so when a situation and problem arise, how much of their creativity can be used in the right place becomes a gauge of talent training.
    hen, how should the future of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which teaches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of the past, change? As an alternative to this, this article suggested several possibilities for strengthening the ‘competence’ that can be dealt with in the subjects of “Chinese Literature” and “Language Life and Chinese Character” in the “2022 Chinese Literature Curriculum”. First, how to cultivate creativity, the contents of textbooks worthy of the current trend, third, how to develop convergent thinking through words and translations mixed with foreign words and Chinese characters, and fourth, how learners can use Chinese literature knowledge to solve problems on their own according to changes in circumstances, and fifth, how to strengthen communication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and project-oriented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etc. were mentioned. Finally, concerns and alternatives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Digital Textbook (AIDT)’ were described, although it has not yet been introduced in Chinese literature subj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敎育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