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체포 피의자에 대한 구속영장 발부제도 고찰 (Die Betrachtung des Haftbefehlssystems gegen die nicht festgenommenen Beschuldigten)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9.12
39P 미리보기
미체포 피의자에 대한 구속영장 발부제도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50호 / 67 ~ 105페이지
    · 저자명 : 정성민

    초록

    구속영장실질심사제도는 1995년 형사소송법 개정으로 처음 도입되었고, 2007년 형사소송법 개정에 의해 현재와 같은 모습을 갖게 되었다.
    미체포 피의자에 대해 구속영장실질심사를 위해 구인영장을 발부하는 것에 대하여 검사의 청구 없이 영장을 발부한다는 비판과 오히려 기본권을 침해한다는 비판이 있다. 그러나 전자의 비판은 구속이 구금과 구인을 포함하는 개념이라는 점을 간과한 것이고 구속의 목적이 수사에 한정된다는 잘못된 해석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리고 구인은 체포보다 피의자의 신체의 자유를 덜 침해하며, 구속영장의 집행 확보를 위한 부득이한 최소한의 조치이다.
    현행 미체포 피의자에 대한 구속영장 발부제도의 개선을 위해 서면심리만 하여 구속영장 발부 여부를 결정하자는 견해(소위 독일식)는 독일에서 구속에 대한 법원의 통제가 강화되어 있다는 점, 구속명령 집행 후 수사를 위해 구인을 미루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점 등을 고려하지 않고 독일 구속제도의 한 측면만을 본 것이며, 독일과 달리 수사단계에서 변호인의 기록열람권이 거의 인정되지 않는 우리나라에서는 사전청문을 사후청문으로 바꿀 정당성이 없다.
    그리고 체포전치주의(소위 일본식)는 그 속성상 체포요건을 완화할 수밖에 없어 법원의 2중 심사라는 본래의 취지를 살리기 어렵고, 오히려 용이한 체포를 통한 용이한 구속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구인영장을 발부하지 않고 임의소환하는 방안은 심문을 마친 피의자에 대한 도주 방지 대책이 없어 실제 운영이 힘든 제도이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결국 현재와 같은 구인영장을 필요로 하게 된다.
    현행 미체포 피의자에 대한 구속제도는 피의자의 신체의 자유를 필요최소한으로 침해하면서 피의자의 사전 법정 진술을 보장하는 균형 잡힌 제도이다. 피의자가 심문 거부 의사를 밝혔을 때의 후속 절차가 통일되어 있지 않은 문제는 형사소송법에 따라 처리하면 해결할 수 있으며, 이를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예규를 개정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

    영어초록

    Das System der vorherigen richterlichen Vernehmung bevor der Haftbefehl erlassen wird, wurde erstmals 1995 mit der Änderung des Strafprozessgesetzes eingeführt und wurde zuletzt im Jahr 2007 mit der Änderung des Strafprozessgesetzes erneuert.
    Für die richterliche Vernehmung ist der nicht festgenommene Beschuldigte dem Gericht vorzuführen. Es wird beanstandet, dass der Vorführungsbefehl ohne Antrag der Staatsanwaltschaft erlassen wird und deswegen das Grundrecht des Beschuldigten verletzt. Diese kritische Sicht übersieht jedoch, dass der Begriff der Verhaftung sowohl die Haft als auch die Vorführung umfasst und nimmt unter der unrichtigen Vorstellung an, dass der Zweck der Verhaftung auf die Ermittlung beschränkt ist. Jedoch greift die Vorführung auf die Freiheit der Person vom Beschuldigten weniger ein als die Festnahme und ist die mindeste unvermeidliche Maßnahme, um die Vollstreckung des Haftbefehls sicherzustellen.
    Die Auffassung, zur Verbesserung des Haftbefehlssystems den Erlass eines Haftbefehls nur aufgrund der Unterlagen zu entscheiden (das sogenannte deutsche System), sieht nur einen fragmentarischen Aspekt des deutschen Haftbefehlssystems, ohne Rücksicht darauf, dass die gerichtliche Kontrolle über die Verhaftung in Deutschland strenger ist und nach Vollstreckung des Haftbefehls es nicht gestattet ist, die Vorführung wegen der Ermittlung hinauszuschieben. Und anders als in Deutschland ist der Verteidiger in Korea im Ermittlungsverfahren kaum befugt, die Akten einzusehen. In Korea kann es nicht gerechtfertigt werden, die vorherige Anhörung durch die nachträgliche Anhörung zu ersetzen.
    Das System der vorherigen Festnahme vor der Verhaftung (das sogenannte japanische System) führt zu dem unvermeidlichen Ergebnis zu, die Voraussetzungen der Festnahme zu erleichtern. Daher ist es schwierig, den ursprünglichen Zweck der doppelten Prüfung des Gerichts zu erreichen, und es kann eher durch die einfache Festnahme zu einer leichten Verhaftung geführt werden.
    Wenn der Beschuldigte ohne Vorführungsbefehl zu laden möglich wäre, wird diese Maßnahme keine Flucht präventierende Wirkung nach der Vernehmung darstellen. Daher ist die tatsächliche Einführung dieses Systems schwierig, und es wird ein Vorführungsbefehl erforderlich sein, um das System zu ergänzen.
    Das geltende Haftbefehlssystem gegen die nicht festgenommenen Beschuldigten ist ein ausgewogenes System, welches den Anspruch auf das vorherige rechtliche Gehör des Beschuldigten garantiert und die Freiheit der Person am geringsten verletzt. Wenn der Beschuldigte die Vernehmung verweigert, besteht ein Problem, dass das nachfolgende Verfahren nicht einheitlich wird. Dieses Problem kann jedoch nach den Regelungen des Strafprozessgesetzes gelöst werden und die Änderung der gerichtlichen Regel kann auch in Betracht kommen, um dies klarer zu mach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