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산수미 구성: 청량산에서 금강산으로 (Constructing Natural Beauty: From Mt. Cheongryang to Mt. Geumgang)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6.05
32P 미리보기
산수미 구성: 청량산에서 금강산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17호 / 58 ~ 89페이지
    · 저자명 : 조규희

    초록

    금강산은 고려 말 이래 한반도에서 가장 유람해 보고 싶은 최고의 경관을 지닌 산이었을 뿐 아니라 불교 성지로 이웃 국가에까지 그 명성이 알려진 명산이었다. 그런데 중종 말년 이후 16세기 후반 동안은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다. 반면 이 시기에는 안동 지방의 작은 산인 청량산이 당시 지식인들 사이에서 꼭 한 번 탐방하고 싶은 곳으로 명성을 얻었다.
    청량산이 전국적으로 주목을 받게 된 계기는 풍기군수로 재직 중이던 주세붕이 1544년에 지은 「유청량산록(遊淸凉山錄)」을 통해서였다. 그가 이 글을 저술한 가장 큰 목적 중의 하나는 천년 동안 적막하게 명성 없던 이 산을 예안 출신의 영남 성리학자들을 낳은 특별한 산수로 부각시키기 위해서였다. 이를 위해 이 산 곳곳의 지명을 새롭게 고쳐, 불교적 자취 일색이던 이 산을 성리학의 성산으로 전환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렇게 청량산을 주목한 것은 풍기를 안향 이래 성리학자들의 본거지로 만든 백운동서원의 건립 의도와 상통한 것이었다. 이 시기 영남 사림의 청량산 유람은 당시 심화되던 성리학 운동의 흐름과 맞닿아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17세기 후반 이후, 김창흡 형제에 의해 금강산의 수려함이 문학과 예술의 가장 중요한 주제로 새롭게 조명된 것도 ‘산수미 구성’이란 맥락에서 조명해 볼 수 있을까? 18세기 서울의 진보적인 학풍과 문예의 흐름을 주도하였던 김창흡이 후학들에게 전한 가르침은 “시는 명산과 대천에 있다.”는 것이었다. 김창흡은 진정한 시를 쓰기 위해서는 직접 산천을 탐방하여 산수의 진면목을 보고 그곳에서 느낀 감흥을 써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런데 그에게 가장 명산은 금강산이었다. 시가 ‘명산’에서 나오는 것이라면, 가장 뛰어난 시는 결국 ‘금강산’에서 나와야 한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금강산 유람의 경유지인 포천과 가평, 철원 일대는 흥미롭게도 이들 장동(안동) 김씨 일족이 개간을 통하여 마련한 경제적 기반인 외포(外圃)였다. 이황이 청량산을 ‘우리 집안의 산(吾家山)’으로 칭했던 맥락처럼 금강산도 이들에게는 ‘우리 집안의 산’이었던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김창흡은 금강산을 일곱 번이나 탐방하며, 유람할 때마다 새롭게 접하게 되는 금강산의 진면목을 시에서 강조하였다. 이것은 김창흡 문하의 후학들에게 산수 경관을 핍진하게 묘사하는 ‘그림’ 같은 시에 대한 열망을 낳았다. 이들에게 정선의 그림은 산수의 생생한 모습을 기억하고, 또 그 장면을 시로 읊는 데 도움이 되는 매체였다. 김창흡에 의해 새로운 의미가 부여된 금강산 유람과 산수시의 새로운 경지 개척, 그리고 정선이 새롭게 창출한 산수화법은 모두 동가(同價)의 의미를 갖는 담론이었다. 정선의 산수화는 시와 함께 감상하는 그림으로 여겨졌다. 이후 금강산은 서울 지식인들 사이에서 일생에 꼭 한 번은 유람하고 싶은 최고의 산수 경관이 되었다. 이렇게 산수는 인간이 추구하고 개입하고 투사한 문명의 또 다른 얼굴이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The transition of Jeong Seon from an ordinary painter of Mt. Geumgang to a nationally renowned artist became the initial stimulus for this paper. He was also viewed as an epitomized painter of the true-view landscape painting. By tracing the meaning of an appreciable landscape, the paper essentially examines the context of how particular natural beauty is constructed and the effects of such construction.
    Mt. Geumgang was regarded as the ideal place for sightseeing with its unparalleled scenery since the end of Goryeo, and its reputation as a Buddhist shrine also spread to the neighboring countries. However it was not as recognized as before in the latter half of the 16th century. During this time, it was actually a small mountain located in the Andong area called Mt. Cheongryang that gained nationwide acclaim amongst the intellects. One of the chief reasons why Mt. Cheongryang received such significant attention was due to The record of Mt. Cheongryang sightseeing written in 1544 by Ju se-bung. The primary intention of the record was to highlight Mt. Cheongryang, which was unappreciated for a thousand years, as a remarkable landscape that gave birth to several notable Neo-Confucianists. For this reason, Ju se-bung revised certain place names of the mountain to present it as a sacred mountain of Neo-Confucianism.
    So then, could the new reflection of the beauty of Mt. Geumgang as the most important topic of literature and art be examined in the context of constructing landscape beauty? Gim Chang-heup, who took lead in the progressive academic traditions and literature of late 17th and early 18th century Seoul, claimed that “great poetry comes from great mountains,” implicating that one had to personally explore the nature and perceive the true landscape in order to achieve poetic inspiration. Since the most noted mountain to him was Mt. Geumgang, his statement evinced that outstanding poetry had to come from that mountain.
    However, the passing points for the sightseeing of Mt. Geumgang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 were interestingly an economic base of Gim family’s property. For this reason, Gim Chang-heup was able to visit Mt. Geumgang seven times and accentuate his illuminating realization of the true qualities of Mt. Geumgang in his poems. Yet it was not easy to visit Mt. Geumgang that many times, much less vividly remember the landscape features and create poetry and prose that depicts the scenery. The followers of Gim Chang-heup must have needed the drawing by Jeong Seon to produce picturesque poetry.
    The sightseeing of Mt. Geumgang that was granted a new meaning by Gim Chang-heup, the new development of the landscape poetry, and the trueview landscape painting by Jeong Seon were all a discussion of equivalent signific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