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세기 湖南 詩의 美的 特徵 (The Aesthetic Character of 16th centuries's Honam Poe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07.06
41P 미리보기
16세기 湖南 詩의 美的 特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39호 / 117 ~ 157페이지
    · 저자명 : 김종서

    초록

    16세기 호남의 시인들은 시가 인간 감성 자체의 표현이라는 서정적 시풍을 확립하여 정감의 소리와 심기를 조화시켜 가락이 있는 시를 창출한 데에 미적 특징이 있다. 호남시단과 삼당시인은 성리학을 삶의 기본으로 삼았던 선비였지만, 정감을 중시한 당시풍과 호남 문화의 풍류성을 자신의 개성에 맞게 결합시켜 맑고 담박한 풍격의 시들을 생산해 냄으로써 조선적 미감을 형성하였다.
    당풍을 유행시킨 호남의 한시에서 중시한 것은 소리의 형상화였다. 그들이 생각한 소리란 시어의 청각적 이미지와 낭송할 때 자연스럽고 매끄럽게 터져 나오는 가락만이 아니라 심금을 울려주는 슬픔과 기쁨 등 다양한 내적 정감의 울림을 말한다. 그것은 작가의 다양한 정감적 질량을 싣고 작품의 어휘, 구, 행, 작품을 타고 넘으며 읊어진 것으로 이른바 소리와 心機가 어울려 나타난 가락이며 서정의 표출이다.
    16세기 호남시가 갖는 미적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호남의 시인들은 다양한 含蓄 기법을 사용하여 言外之意의 미감을 형성하였다. 시를 내적으로 긴밀하게 단련하되 조탁의 흔적이 없는 자연스런 시를 추구하였다. 둘째, 시인의 흥취가 景物 가운데 녹아들어 조화된 意境을 형성하였다. 셋째, 그 시는 시어의 이미지가 맑고 그 소리가 유려하여 가락이 붙어 있어 맑고 담박한 풍격을 이루었다. 넷째, 시의 소리를 구현하는 데 힘써 내적 정감을 표현하는데 뛰어나 시의 서정성이 잘 발양되었다. 다섯째, 시의 음영성을 고양하기 위한 방편으로 악부시를 모의하였고, 여성화자의 목소리를 빌려 정감을 고양시켰다. 그렇지만 그들의 시에는 우리 민요에서 나타나는 근원적 恨哀의 정서와 가락이 스며들어가 중국의 악부와는 다른 우리 한시의 경지를 개척하였다.

    영어초록

    The poets of 16th centuries's Honam thought that the poem should express one's feeling. They harmonied the sound of feeling and inner odors and created the rhythmical poems.
    First, the poet of Honam use various implicative techniques to form the unspoken esthetic sense. They disciplined their poems with internal intimacy. Also they tried to make their poems flawless and natural. Second, They mix the gusto of poet with the scenery of the season. In result, they could achieved the harmonic scenery of mind. Third, their poet reached to a lucid and ingenuous style. The image of their poetic diction was pure and the sound was elegant. Fourth, their poet showed the lyricism very well. They exerted themselves to express their feeling 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poetic sound. Fifth, they imitated a Agbu(樂府) style to enhance the recitation of a poem and they borrowed the female speaker's voice to emphasize their feeling. But their style was different from the Chinese Agbu style, because they accepted the peculiarity of Joseon people, especially han(恨).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