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순사상의 미(美) 개념과 미학적 특징 (The Concept of Beauty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Daesoon Thought)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1.04
37P 미리보기
대순사상의 미(美) 개념과 미학적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 수록지 정보 : 대순사상논총 / 37권 / 191 ~ 227페이지
    · 저자명 : 이지영, 이경원

    초록

    본 연구는 진과 선의 가치가 미의 형태로 드러난다면 대순사상에서 진리는 어떻게 ‘미적인 것’으로 표출되고 나타나는지를 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순진리회의 신앙을 감각과 감정, 아름다움으로 성찰하는 전통 미학 혹은 신학적 미학의 방법으로 접근해보고자 한다.
    『전경』을 중심으로 살펴본 대순사상의 미 개념은 신성(神性)과 도리(道理), 일심(一心), 관계(關係)에 숭고와 균제, 절제, 조화미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미 개념으로 고찰한 대순사상의 미학은 천지공사의 미학과 상생의 미학, 치유의 미학이다. 천지공사에는 하느님이 화신(化身)하여 이 땅에 다녀가셨다는 역사가 담겨있다. 인간 ‘강증산’이 상제라는 깨달음은 충격적인 미적 모티브이자 대순진리회의 신학적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상생은 상호관계의 사회성을 심미적으로 나타내는 용어라고 볼 수 있으며 관계의 조화와 통일에 상생의 미학적 구조가 있다고 본다. 치유에는 인류를 무병의 선경세상으로 이끄는 상제의 신성한 숭고미와 인간을 안심ㆍ안신으로 나아가게 하는 절제미가 담겨있다 할 수 있다. 치유의 궁극적 가치인 의통은 인류의 이상을 실현해 주는 수도의 종착점이자, 아름다운 삶, 가치 있는 삶이라는 영적 쾌감을 주는 치유의 미학을 보여주고 있다. 미학의 시선으로 살펴본 대순사상의 미학적 특징은 진멸지경에 놓인 세상에서 창생을 구원하고자 우리 곁에 머물다간 상제의 ‘거룩한 수고’와 상생의 실천으로 치유를 이끌어 내는 미적 태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아름다운 여인을 보면 ‘여신(女神) 같다’고 하거나 ‘선녀(仙女) 같다’는 말을 한다. 아름다운 음악을 들으면 ‘천상(天上)의 소리’라 찬사하고 즐거움이 가득할 때는 ‘신(명)이 난다’고 표현한다. 신(神)은 곧 아름다움의 상징이며 신의 세계는 아름다움의 원형을 의미한다 할 수 있다. 아름다움에 대한 경험은 우리의 영혼을 신에게로 안내한다. 대순사상의 미적 체험은 감정적, 지적, 영적 환희의 절정을 이루는 종교체험으로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아름다움을 인식하는 심미적 체험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values of truth and good are expressed in the form of beauty, and truth and good are analyzed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This enables an assessment of how truth is expressed and presented as an "aesthetic" in Daesoon Thought. Therefore, an approach to faith in Daesoon Jinrihoe (大巡眞理會) can be presented via traditional aesthetics or theological aesthetics that reflect on sense experience, feelings, and beauty.
    The concept of beauty in Daesoon Thought which focuses on The Canonical Scripture appears in keywords used in Daesoon Thought such as divine nature (神性), the pattern of Dao (道理), the singularly-focused mind (一心), and relationships (關係). Therein, one can find sublimation, symmetry, moderation, and harmony. The aesthetic features of Daesoon Thought, when considered as an aesthetic system can formulate thinking regarding the aesthetics of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天地公事), the aesthetics of Mutual Beneficence (相生), and the aesthetics of healing.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contain a record of the Supreme God visiting the world as a human being. The realization that the human figure, Kang Jeungsan (1871-1909), is the Supreme God, Sangje (上帝), is the shocking aesthetic motif and theological starting point of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Mutual Beneficence can be seen aesthetically as indicating the sociality of mutual relations, and there is an aesthetic structure of Mutual Beneficence in the harmony and unification of those relations. Healing can be said to contain the sacred sublimation of Sangje, and moderation is a form of beauty that makes humans move toward Quieting the mind and Quieting the body (安心ㆍ安身), the Dharma of Presiding over Cures (醫統), and the ultimate value of healing, which is the end point of the Cultivation (修道) wherein one realizes that the ideals of humankind and the aesthetics of healing bestow the spiritual pleasures of a beautiful and valuable lif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Daesoon Thought demonstrate an aesthetic attitude that leads to healing through Sangje’s Holy Works and the practice of Mutual Beneficence (相生) which were performed when He stayed with us to vastly save all beings throughout the Three Realms that teetered on the brink of extinction.
    It is not uncommon to see a beautiful woman and remark she is like a goddess (女神) or female immortal (仙女). Likewise, beautiful music is often praised as "the sound of heaven." That which fills us with joy is spoken of as "divine beings (神明)" of God. God is a symbol of beauty, and the world of God can be said to be the archetype of beauty. Experience of beauty guides our souls to God. The aesthetic experience of Daesoon Thought is a religious experience that culminates in emotional, intellectual, and spiritual joy, and it is an aesthetic experience that recognizes transcendent beau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순사상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