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영상저작물의 저작권 귀속에 관한 검토 (A Study on Copyright Attribution of Cinematographic Works in China)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19.07
31P 미리보기
중국 영상저작물의 저작권 귀속에 관한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법무부
    · 수록지 정보 : 선진상사법률연구 / 87호 / 179 ~ 209페이지
    · 저자명 : 구천을, 노현숙

    초록

    한국 영화산업은 규모와 내용면에서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고 최근 한국과 중국 간의 영상물시장의 교류 양식은 완성된 영화의 수출보다는 자본과 인력의 국가 간 유동 및 연합의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따라서 중국 영화시장에서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서는 중국 내 저작권법제와 영상저작물 관련 정책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영상저작물의 저작권 귀속과 관련하여 중국저작권법은 제작자중심주의를 취하고 있으며 영상저작물에 관한 제반 저작재산권과 저작인격권이 모두 원시적으로 영상제작자에게 귀속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반면, 한국저작권법은 영상저작물에 대한 원시적 저작권 취득 규정이 아닌 양도추정을 두고 영상제작자가 원시적으로 영상물의 저작자로서의 지위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규정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중국법과 차이가 있다. 영상제작자의 범위와 관련하여 중국의 경우에는 영상제작자가 될 수 있는 자격이 사실상 법인으로 제한되지만, 한국의 경우에는 자연인도 영상제작자가 될 수 있다. 영상저작물의 제작과 관련하여 중국 내 강한 행정관여가 존재하므로 한국자본이 중국에서 영상저작물의 제작을 원하는 경우에는 중국현지 제작단위와 합력하거나 중국자본과 결합하여 공동으로 영상저작물을 제작하여야 한다. 특히 한국자본이 중국 측과 협력하여 중국에서 제작하는 영상저작물에 관한 저작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중국법에 따라 영상저작물에 대한 투자자라는 지위를 인정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인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영상저작물의 저작권 귀속과 관련한 중국법 규정의 검토를 바탕으로 개정 작업 단계에 있는 중국저작권법에 대한 몇 가지 개정안을 제안한다. 중국저작권법 내 제작자의 의미를 명시하고, 과학기술의 발전과 영상문화의 보급에 따라 개인 주도하에 창작된 영상저작물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영상제작자의 범위에 법인과 함께 자연인도 포함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그 밖에 영상저작물의 저작권 등록 강화와 영상저작물 저작자의 인격권 보호가 강화될 것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In the field of cinematographic composition, the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has changed. In the past, Korea and China simply exported to each other's market in the form of finished works, but recently, the two countries' manpower and capital enter the other's market and make cinematographic works there. In case the Korean workforce and capital enter the Chinese market and produce cinematographic works, the issue of copyrights related to the cinematographic production can arise. Thus, this article examines the copyright attribution related to the cinematographic works produced in China. This article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cinematographic works, the copyright attribution system of cinematographic works under Copyright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heafter "China's Copyright Law"), reviews the draft revision of China's Copyright Law and finally suggests some ways to improve the Chinese legal system.
    In relation to the copyright attribution of cinematographic works, China's Copyright law is different from Korea Copyright Act in that it takes author-centeredism and that all authoring rights and moral rights related to cinematographic works are attributed to cinematographic producers, while Korea Copyright Act does not prescribe whether a cinematographic producer can have a primitive position as a creator of a cinematographic work. Since there is a strong administrative involvement in the production of cinematographic works, it seems to be important that Korean or foreign cinematographic producers are recognized as investors in cinematographic works in order to secure copyrights for cinematographic works produced in China.
    In addition, this article suggests some amendments to the China's Copyright Act, examining the Chinese legal provisions related to copyright ownership of cinematographic works. As the number of cinematographic works created under individual initiative is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visual culture, it is suggested that the scope of the film-maker should include the natural person along with the legal entity. In addition, it proposes that strengthened copyright registration of cinematographic works and protection of moral rights of authors of cinematographic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