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동기시대 수리시설물의 구조와 변천 (Structure and Changes of the Bronge Age Irrigation facilit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15.07
31P 미리보기
청동기시대 수리시설물의 구조와 변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 수록지 정보 : 야외고고학 / 23호 / 5 ~ 35페이지
    · 저자명 : 허의행

    초록

    水利施設物에 대한 접근은 지금껏 농업용 수리시설물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주였다. 그러나 수리시설물은 물의 일반적 성질을 파악하고 이를 제어하는 治水와 利 水 등의 행위를 위해 설치한 것이므로, 농업용 灌漑施設 뿐 아니라 이와 관련된 다양한형태와 기능을 가진 시설물의 파악을 필요로 한다.
    수리시설물은 구조에 따라 크게 용수시설(用水源), 집수 및 저수시설(貯木場 및 洑 포함), 용수 운반시설 등으로, 기능에 따라서는 産業 및 工業用(생활용품 제작), 食用, 灌漑用, 治水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수리시설물은 입지에 따른 설치위치, 축조재료와 구조형태에 따라 변화의 모습을 보인다. 더불어 개개 수리시설물 간 조합이진행되면서 더욱 진전된 수리체계의 변화를 볼 수 있다.
    수리시설물은 처음에 流水 흐름을 거스르지 않는 자연 하천과 냇가에 입지하였으나, 농경의 본격화에 따라 더욱 큰 하천 및 넓은 충적지대로 이동하였다. 이는 물의 이용과제어기술의 진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수리시설물의 변화는 축조재료와 구조, 기능에의해 확인된다. 축조재료는 석재에서 목재로 바뀌면서 동시에 혼축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기술적 발전에 따른 구조변화와 함께한다. 기능은 식수 전용 중심에서 물품과 다양한 산물의 생산용, 농업 관개용으로 多變化되어 간다.
    이러한 수리시설물은 신석기시대 만기부터 보이는데, 이때는 자연스런 流水의 방향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설치되는 모습이다. 이후 청동기시대 들어서면 농경의 본격화로수리시설물 또한 본격 등장과 전개가 이루어진다. 적극적 지형개변을 통한 환경 적응용 설치가 진행된다. 이때의 수리시설물은 농경용 시설물의 조합과정에서 특징이 관찰되는데, 전기 늦은 시기에는 충적대지에 區劃溝 등의 농경지와 함께 小水路와 貯水池, 集石遺構 등을 조합하며, 후기에 들어서면 저지대로 수전 농경을 전개하면서 관개용수리시설물의 점진적 발전과 타 시설물 간 조합의 완성화로 수리체계가 변화해 간다.

    영어초록

    The major research focus regarding irrigation has been on agricultural irrigation facilities. There are various types of irrigation constructed structures related to controlling and utilizing water.
    The structural classification for irrigation facilities encompasses water supplying, and collecting and storing(including pools for wooden material conservation and reservoir) facilities whereas functional categories include structures aimed to provide water for agricultural and craft production, diet, and cooking. The set of irrigation facilities varies, depending on location, construction materials and structure, and the combination modes of individual facilities. In particular, it is indicated that more advanced complex of irrigation facilities had developed over time.
    Considering the location of irrigation system, small stream basins were favoured, and ,later, the floodplain of large rivers and low-lying land by agricultural development, was also utilized. The structural development is observed from stone to wooden construction material. From the functional perspective, the main function of water reservoir was to conserve water for domestic use, but its function was extended to providing water for agricultural and craft production with various sets of individual irrigation facilities. In particular, changes on irrigation facilities became clear.
    Emergence of water utilizing facilities might have occurred in the late phase of the Neolithic, but the function and structure such as wooden material reservoir remained simple, facilitating natural water flow. The crucial development occurred in the Bronze Age associated with advanced agricultural practice. In the late phase of the Early Bronze Age, field system, small irrigation canals, reservoir and features with stones appeared.
    In the late phase of the Late Bronze Age, more active paddy rice farming and various sets of irrigation facilities appeared. Lastly, in the Early Iron Age, combination of irrigation facilities was completed with technical advance on the water reservoir, and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iques for artificial levee is noticeable.
    Thus, emergence, development and changes of irrigation facilities was associated with advance of construction techniques and agricultural prac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