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도 강정마을의 물 문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Water Culture of Gangjeong Village in Jeju Island)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2.08
33P 미리보기
제주도 강정마을의 물 문화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수록지 정보 : 제주도연구 / 58권 / 211 ~ 243페이지
    · 저자명 : 윤용택

    초록

    과거 제주섬 대부분 지역에서는 물이 부족하여 논농사를 짓기가 어려웠다. 그러나 서귀포시 강정마을은 사시사철 흐르는 ‘큰내(강정천)’와 ‘아끈내(악근천)’가 있고, 크고 작은 용천수가 솟아나서 논농사를 짓기에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추고 있다. 그래서 강정마을은 ‘일강정’ 또는 ‘제일강정’이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다. 강정에는 제주섬의 다른 지역에서 찾기 힘든 물과 관련된 이야기들이 많다. 특히 강정(강정쌀)과 강정은어는 강정마을 출신이면 누구나 자랑스러워하는 것들이다. 하지만 1980년대 후반부터 강정 마을은 점점 쇠락하기 시작한다. 강정 취수장이 건설되고 지하수가 개발되면서 지하수를 너무 많이 뽑아 올리는 바람에 용천수의 용출량이 급격하게 줄고 쌀값이 폭락하면서 논농사가 경쟁력을 잃게 되었기 때문이다. 지금은 강정을 대표하던 강정과 강정 은어도 이야기로만 남게 되었고, 논농사를 지으며 부르던 일노래도 한낱 가사로만 남아있다. 강정마을의 물 이야기들은 물이 부족하던 제주섬의 주요한 생태문화자산이면서 제주섬의 물 문화의 지평을 넓히는 데 한몫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더 늦기 전에 일강정의 옛 모습을 복원하여 생태박물관(Eco Museum)으로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다. 물을 주제로 한 생태박물관은 일강정의 물 문화유산을 보존 전승하기 위한 기틀이 되고, 지역 생산물을 이용하여 지역주민의 소득을 높이면서, 그동안 분열되었던 마을공 동체를 복원해나가는 데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the past, in most areas of Jeju Island, it was difficult to cultivate paddy fields due to lack of water. However, Gangjeong Village in Seogwipo-si has ‘Keunnae(Gangjeong River)’ and ‘Akeunnae(Akgeun River)’ that flow all year round, and large and small springs spring up, so it is blessed with natural conditions for rice farming. Therefore, Gangjeong Village was nicknamed ‘Ilgangjeong(Best Gangjeong)’. In Gangjeong, there are many stories about water that are hard to find in other areas of Jeju Island.
    In particular, Gangjeong-Rice and Gangjeong-Sweetfish are things that anyone from that village can be proud of. However, from the late 1980s, Gangjeong Village began to decline. With the construction of a water intake plant in Gangjeong and the development of groundwater, too much groundwater is being drawn up. As a result, the output of spring water sharply decreased and the price of rice plummeted, making rice farming less competitive.
    Now, Gangjeong-Rice and Gangjeong-Sweetfish, which were representative of Gangjeong, are left only as stories, and the work songs that were sung while farming rice remain only as lyrics. The stories about water in Gangjeong Village are the main ecological and cultural heritage of Jeju Island, where water was scarce. Before it is too late, it is necessary to restore the old appearance of Gangjeong and make it an Eco Museum.
    The water-themed ecological museum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preserving and transmitting the water cultural heritage of Ilgangjeong, raising the income of local residents by using local products, and will greatly contribute to restoring the divided village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주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