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운송인의 운송물 인도책임에 대한 연구 - 운송물인도의무 및 인도개념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arrier’s Liability for Delivery of Goods - Focusing on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Obligation and the Concept of Delivery of Goods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16.04
32P 미리보기
운송인의 운송물 인도책임에 대한 연구 - 운송물인도의무 및 인도개념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해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해법학회지 / 38권 / 1호 / 127 ~ 158페이지
    · 저자명 : 전해동

    초록

    일반적으로 운송인은 운송물의 선적, 적부, 보관, 운송, 관리 및 양륙에 대하여 주의의무를 부담한다. 또한 일부 국가에서는 여기에 운송인의 수령 및 인도의무까지 명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운송인은 화물의 운송을 종료한 후에는 이를 수하인에게 인도하여야 한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과연 인도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발생할 수 있겠으며, 이에 대해 명확한 규정을 제공하고 있는 법규 및 사례를 찾는 것이 쉽지 않으나 미국과 영국의 판결에서 인도의 개념, 인도의 성립기준 등의 문제를 다루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해상운송계약에서 운송물의 인도는 운송이 종료된 후 운송인이 그 운송물에 대한 점유를 정당한 수하인에게 이전하고, 수하인은 그 점유를 취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운송물의 인도는 운송물에 대한 권리의 이전, 그리고 그 권리의 이전의 결과로서 실현되는 운송물에 대한 점유의 이전인 것이다. 여기서 운송물에 대한 점유의 이전뿐만 아니라 운송물의 지배․관리가 누구의 영역에 놓이게 되는가 하는 점도 중요하다.
    미국의 입장은 실제적 인도 또는 추정적 인도를 의미한다. 여기서 추정적 인도란 먼저, 운송물을 도착항에서 양륙하고 운송물을 구분하고 나서, 수하인 또는 그의 대리인에게 운송물의 도착을 통보 하고, 그리고 수하인이 운송물을 검사할 적절한 기회를 제공받고 나서 운송물을 인수하여 적절한 관리 하에 두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영국의 입장은 관련 사례에 따라 여러 가지 기준이 언급되었다. 즉, 인도라 하는 것은 주로 운송물이 수하인의 완전한 통제 하에 있어 그가 원하는 대로 처리할 수 있을 때를 말하거나 또는 운송물이 수하인의 절대적인 지배와 통제 하에 놓이게 될 때를 말하고 있다. 선박으로부터 운송물이 양륙될 때, 운송물은 주로 운송인 또는 수하인 보다는 대리인 또는 계약업자의 보관 하에 놓이게 되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운송물이 수하인의 대리인 수중에 놓이게 될 때 인도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만약 특별약관이 없다면, 단지 운송물을 수하인의 대리인이 아닌 사람의 보관 하에 놓는다고 해서 인도가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또한, 대부분의 항구에서는 운송물을 항만당국이나 관세당국으로 인도하는 것이 보통의 관행으로 여기고 있다. 한편, 로테르담 규칙 하에서는 당사자가 약정으로 인도의 장소와 시간을 정할 수 있도록 하였고, 수령의무를 부담하게 되는 수하인은 합의된 장소 등에서 운송물을 수령하여야 한다. 그러나 수하인이 운송물을 수령하지 않는 경우는 그 운송물은 미인도 운송물이 되어, 이 경우 운송인은 여러 가지 합리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고 그 책임은 경감하게 된다.

    영어초록

    In principle, the carrier shall have the obligation to properly and carefully load, handle, stow, carry, keep, care for, and discharge the goods carried. In some countries, the responsibility of the carrier extends to receipt or delivery of the goods. However, providing for a concept or definition of delivery is not that easy. Some countries require some act of actual receipt by the consignee, whereas others regard the placing of the goods at the free disposal of the consignee as delivery. Such placing at the consignee’s disposal may be done actually or through documents, such as a delivery order.
    In Korea, delivery may be transfer of possession, i.e. the handing over of the goods to the consignee and the placing of the goods under the care and control of consignee. In the USA, delivery may be actual delivery or constructive delivery. The latter means that proper delivery occurs when a carrier a) discharges the goods onto a dock, separates them; b) gives due notice to the consignee of the time and place of their deposit; and c) affords the consignee a reasonable opportunity to remove(or receive) the goods or place them under proper care and custody. In the UK, delivery may occur when the goods are so completel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signee that he may do what he likes with them or when they are placed under the absolute dominion and control of the consignees. In practice, upon the discharge of the goods from the ship they are frequently in the custody of agents or contractors rather than the carrier or consignee themselves, and in those circumstances delivery will occur when the goods are placed in the hands of an agent of the consignee. Delivery cannot, in the absence of special terms, be effected merely by putting the goods into the custody of a person who is not the agent of the consignee. In many ports, it is usual practice to deliver the goods into the custody of the port or customs authority.
    Under the Rotterdam Rules, the parties may agree on the time and location of receipt and delivery of the goods. When the goods have arrived at their destination, the consignee that demands delivery of the goods shall accept delivery of the goods at the time or within the time period and at the location agreed in the contract of carriage. However, the goods shall be deemed to have remained undelivered only if, after their arrival at the place of destination, the consignee does not accept delivery of the goods at the time and location agreed. If the goods have remained undelivered, the carrier may, at the risk and expense of the person entitled to the goods, take resonable actions in respect of the goods, including, for instance, to store the goods at any suitable place, et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해법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