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실록의 세초 기록물과 절차 (The Cleaning of the Paper that would be used in Compiling and Printing the Annals of the late Joseon Dynast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14.02
26P 미리보기
조선후기 실록의 세초 기록물과 절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44권 / 117 ~ 142페이지
    · 저자명 : 조계영

    초록

    본 논문은 조선후기에 실록을 찬수하고 인출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종이를 洗草의 시각에서 고찰한 것이다. 즉 세초되었던 종이라는 기록의 매체를 통해 실록의 생산과 관리에 대해 조명한 것이다. 실록의 찬수와 인출은 실록청 아래 설치된 ‘①산절청→ ②찬수청→ ③교정청→ ④교수청’의 순서로 작업이 진행되었다. 조선후기에 실록을 춘추관에 봉안한 후 세초하였던 기록물은 실록청의 작업 과정에서 나온 ①¹시정기를 비롯하여 ②¹初草·③¹中草·④¹初見印出·④²再見印出에 사용된 종이이다.
    본 논문에서 새롭게 밝혀 낸 것은 산절 결과인 ①°出草의 형태와 인출을 위해 大粉板에 베껴낸 ④°正書의 존재이다. 이들은 세초 기록물은 아니지만 실록의 편찬 과정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세초를 마친 휴지는 조지서로 보내져 재생되었다고 하였으나, 본 논문에서는 차일암에서 紙匠과 洗草軍에 의해 세초된 휴지는 호조로 옮겨져 災傷休紙로 비축되었다가 활용되었음을 밝혔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s one that is focused on the cleaning of the paper that was used in the compiling and printing the Annals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other words, through the medium of particularly selected and cleaned paper, this research sheds light on the production and preservation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operation of compiling and printing the Annals progressed through four different managing divisio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final material was rewashed paper that had undergone the 4-step process of ‘① 刪節廳 ② 纂修廳 ③ 校正廳 ④ 校讎廳’ and that could be used for the records.
    What the current research sheds new light on is the existence of two steps that were also a part of the overall process: the rough draft(出草) that was written on a paneled notebook(粉貼) and also the text(正書) that was written on a white board(粉板). These two parts did not involve the rewashed paper as in the other stages of the process. As su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people conscious of the exact process by which the Annals were produced.
    Previous literature has dealt with how the recycled paper was sent to Joji-seo (造紙署) to be newly remade; however, this current study covers the activity of how the paper came to be stored at Ho-jo (戶曹).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