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물시계에 대한 시론 (A preliminary study on a water clock in Goryeo Dynas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14.06
33P 미리보기
고려시대 물시계에 대한 시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연구 / 165호 / 31 ~ 63페이지
    · 저자명 : 서금석, 김병인

    초록

    본고에서는 『高麗史』 「禮志」에서 보인 ‘晝漏上水五刻’이라는 단서를 매개로 하여 고려시대 물시계의 운용과 시보체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고려는 물시계를 漏上水와 함께 宮漏․禁漏․銀漏 등 여러 별칭으로 불렀다. 고려시대 시간의 운용은 생업과 직결된 것이었지만 그것의 대한 정보는 사료의 부재를 이유로 제대로 해명되지 못하였다. 현존하는 해시계 유물은 신라의 것으로 추정하는 돌 파편이 유일하다. 물시계 운용에 대한 기록은 『고려사』 「예지」 길례대사 편에서 단편적으로 보이고 있다. 바로 ‘晝漏上水五刻’이 그것이다. 여기에서 漏上水는 고려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된 물시계 이름이다. 고려 사료에 발견되지 않은 이들 물시계 이름은 오히려 중국 측의 자료에서 풍부하게 찾을 수 있다. 고려에서 명명된 漏上水는 조선 초기에도 여전히 물시계 이름으로 쓰였다. 漏上水는 조선실록에서 세종대에 가장 많이 등장하였다. 그렇지만 이후 조선에서는 이 이름의 물시계를 찾아보기 힘들다. 이는 아마도 세종대에 자격궁루가 제작되었기 때문이지 않나 한다. 『高麗史』 「禮志」에서 漏上水의 시각 5刻을 알리고 있었던 점을 고려한다면, 고려의 물시계는 漏壺에 눈금이 새겨진 浮箭(또는 刻箭)이 설치된 다단식 구조였을 가능성이 크다. 이는 자격궁루의 전반부(다단식 구조)를 참고하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자격궁루로 이름 지어진 이유가 이 물시계 전반부에 해당하는 水壺와 漏壺 때문이 아니라 시간을 자동으로 알리는 거대한 장치인 후반부임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고려의 時報체계는 고려 측의 사료가 아닌 북송대의 인물인 서긍이 쓴 『고려도경』의 짧은 기사를 통해 짐작할 수 있다. 고려의 시보는 漏刻을 담당한 설호가 매 시각마다 시간을 알리고, 이를 다시 북을 쳐서 밖으로 알리는 체계이다. 설호가 매 시각 시간을 알리기 위해서는 매 시각에 시간[刻]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물시계에 정확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눈금 자대인 浮箭이 설치되어야 있거나 漏壺에 눈금이 새겨져 있어야 한다. 고려는 하루 시각을 100각으로 나누었다. 따라서 漏壺에 직접 눈금을 새기는 것보다는 긴 막대와 같은 浮箭에 눈금을 표기하였을 가능성이 많다. 이와 같은 『고려도경』의 설정은 『고려사』 「예지」의 ‘晝漏上水五刻’과 같은 맥락으로써 고려의 물시계가 浮箭의 눈금을 재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구조였을 것이라는 짐작이 가능하다.
    고려의 시측의기는 신라의 누각제를 계승하고 또 당의 선명력을 오랫동안 습용한 사실에서 당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송과 원과의 교류를 경험하였던 고려는 그들의 기술을 받아들이고 시측의기를 자체 개발하여 운용하였을 것이다. 『고려사』 「악지」 편에서 보이는 宮漏나 禁漏가 『송사』와 『원사』에서 언급된 점으로 미루어 보아 고려의 물시계 이름은 동시대에 걸쳐 여러 국가들이 함께 공유하여 불렸을 것이다. 고려시대에 야밤에 들리는 북소리는 宮漏(궁궐 물시계)에 의해 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널리 알리는 소리였으며, 이 宮漏 소리로 인해 누구나 시간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고려사』 「예지」에서 보였던 漏上水는 宮漏·禁漏·作漏 등의 여러 별칭과 함께 물시계 이름으로 불러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application of a water clock (clepsydra) and the system of time signal in Goryeo Dynasty by using a reference, ‘Ju-nusangsu-oh-gak (晝漏上水五刻)’ shown in 「Yeji」, 『Goryeosa (History of Goryeo)』. In Goryeo, a water clock was called by the aliases of Gungnu, Keumnu or Eunnu as well as Nusangsu. Time management was connected directly to occupations in Goryeo, but the in formation of that has not come out because of few historical materials related to that. The relic of a sundial handed down to us today is just a piece of stone assumed as being in the period of Silla. And the only fragmentary record of a timepiece is ‘Ju-nusangsu-oh-gak’ shown in Gilrae Taesa, 「Yeji」, 『Goryeosa』, in which Nusangsu is a name of a water clock generally used in Goryeo. The names for a water clock which are hard to find in Goryeo historical materials appear more in Chinese materials. Nusangsu named by Goryeo was called as a name of a water clock until the early of Chosun Dynasty, and appeared the most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in the Annuals of Chosun Dynasty. Since then, however, the name has been rarely found in Chosun Dynasty. It would be probably because the Jagyeokgungnu (Self-striking water clock) was made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Considering the time of 5 gaks at which Nusangsu pointed in the reference in 「Yeji」, 『Goryeosa』, a water clock used in Goryeo seems to have had a multi-stage structure equipped with Bujeon (or Gokjeon) with gradations on Nuho. For better understanding, it would be helpful to refer to the front part of Jagyeokgungnu (multi-stage structure). We need to understand why the timepiece was named as Jagyeokgungnu, which was named not because of the front part which consists of Suho and Nuho, but because of the big back part which automatically signals the time.
    We can see the system of time signal in Goryeo by a brief record in 『Goryeo Togyong』 written by Xu Jing from Northern Song, China who visited Goryo, not by any Goryeo materials. In Goryeo, a Seolho who was in charge of a water clock signals the time every hour, and then it is delivered to the public by striking a drum according to the Seolho’s signal. Seolho, therefore, must have been able to measure the time (Gak) of each hour to signal that. And also there required Bujeon as a graduated ruler in order to measure the accurate time or gradations on Nuho. Goryeo divided time of the day into 100 gaks, and was likely to mark gradations on Bujeon like a ruler rather than mark them directly on Nuho. The above description according to 『Goryeo Togyong』 is in the same context as ‘Ju-nusangsu-oh-gak’ shown in 「Yeji」, 『Goryeosa』. That is, it can be said that a water clock in Goryeo Dynasty was designed to measure time by reading the gradations on Bujeon.
    A timepiece system in Goryeo succeeded to the water-clock system of Silla Dynasty and was also influenced by the Xuanming Calenda of Tang in that Goryeo applied the Xuanming Calenda for quite a long time. In addition, Goryeo might accept the related technique from Song and Yuan, China as they had various cultural exchanges each other, to produce its own timepiece. Considering that Gungnu or Geumnu shown in 「Akji」, 『Goryeosa』is mentioned in 『Songsa (History of Song)』 and 『Yuansa (History of Yuan)』, the name of Goryeo’s water clock seems to have been called in common in its neighborhood countries that time. The sound of a drum at night was to signal the time measured by Gungnu (Royal water clock) to the public, so that all the people could the time. As shown above, the study found that Nusangsu mentioned in 「Yeji」, 『Goryeosa』 was an another name of a water clock like Gungnu, Geumnu, or Jaknu in Gorye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