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물(水), 혹은 흐르는 세계(物)-고대 중국 제자백가에서 ‘물’의 담론과 상형적 사유- (Water Stream, also All Things Flow-the Water-Image and a Way of Thinking by Images-Network in Ancient Chin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19.06
30P 미리보기
물(水), 혹은 흐르는 세계(物)-고대 중국 제자백가에서 ‘물’의 담론과 상형적 사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74호 / 307 ~ 336페이지
    · 저자명 : 김시천

    초록

    어느 문화권을 막론하고 ‘물(水)’은 인간과 자연의 생명의 바탕이자, 학문적 사유의 원천 가운데 하나였다. 이 논문은 인간의 환경이자 경험적 대상으로서 물이 동아시아의 사상과 문화 속에서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피고자 한다. 특히 고대 중국의 ‘諸子百家’에 반영된 물에 대한 사색 속에 어떤 동아시아적 사유의 특성이 나타나는지를 시험적으로 논하고 있다.
    사라 알란은 고대 중국의 사유에 존재하는 ‘뿌리 은유들(the root metaphors)’에 주목한 바 있다. 그에 따르면 고대 중국의 사유는 형이상학적, 초월적 개념을 찾는 대신, 물(水)이나 바람(風), 식물과 같은 ‘뿌리 은유들’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현상을 이해할 수 있었다고 본다.
    이 논문은 이러한 사라 알란의 주장을 확장하여, 漢字의 기원인 象形文字와 그 특성에 주목하여 이른바 ‘상형적 사유(象形思惟)’ 혹은 ‘이미지-네트워크 사유(the images- network thinking)’를 제안한다. 이는 인간의 자연물에 대한 경험이 이미지로서 한자에 축약되고, 이러한 이미지들을 서로 결합하고 확장하는 방식으로 한자가 증식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유가 확장되는 독특한 사유방식을 드러낸다고 보려는 것이다.
    이러한 이미지-네트워크 사유는, 경험과 사유가 확장되면서 자연스럽게 이미지 결합의 방식으로 한자를 증식하였고, 더 나아가 이미지를 결합하여 사유함으로서 고도의 추상적인 사유까지 표현하는 양식으로 발전하였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는 고대 그리스의 ‘논리학(logic)’과는 다른 사유방식의 하나를 보여준다.
    이 논문은 이러한 ‘상형적 사유’ 혹은 ‘이미지-네트워크 사유’가 어떤 식으로 인간과 자연에 대한 경험을 사유하고 표현하며, 세계관을 구축하는지를 몇 가지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특히 세계, 인간, 정치와 같은 구체적인 영역에서 이미지-네트워크 사유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물의 이미지’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살피고 있다. 이 글은 그런 의미에서 ‘물의 상상력’을 다루지만, 동아시아적 사유의 근저에 닿아 있다고 주장하고 싶다.

    영어초록

    Water is the foundation of the human beings and nature and one of the academic reasons regardless of every cultural area.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water has affected the East Asian thoughts and cultures by means of human environments and empirical objects. Particularly, it aims to experimentally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way of thinking among the contemplation for the water reflected in the pre-Ch’in philosophers and texts.
    Sarah Allan mentioned the ‘root metaphors’ that has existed in the ancient China and was noted. According to her, instead of metaphysical and transcendental notions, this Chinese thinking relies on the humane and natural phenomena through ‘root metaphors’ such as water, winds, and plants.
    This research agrees with what she mentioned and also, broadens her arguments, which induces the awareness of hieroglyphics and their traits and suggests hieroglyphic and the images-network thinking. This means that Chinese characters symbolized the images of experiences for the nature, combined with one another, and made new meaning. Like these multiplied processes of them, the East Asian thoughts similarly shows the unique ways of thinking.
    This images-network thinking interacted with experiences and thinking, reproduced the renewed Chinese characters, and further, established a high level of abstract expressive methods thereby integrating and thinking images. However, these ways of thinking very differ from the logic of ancient Greek.
    In this respect, it represents how the hieroglyphic or the images- network thinking influences the reasoning of humane and natural experiences and exemplifies several specific instances. Especially, detailed areas like the world, human being, and politics appear in terms of the images- network thinking and the images of water. Also, it deals with the imagination of water but it intends to reach the basis of the East Asian think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