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物’의 관점에서 본 莊子의 인간관 (Zhuangzi’s Human Point of View Based on the ‘Thing’[物] Concep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09.01
32P 미리보기
‘物’의 관점에서 본 莊子의 인간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간연구 / 16호 / 71 ~ 102페이지
    · 저자명 : 이국봉

    초록

    莊子는 전국시대 철학자로, 孔子와 孟子를 대표로 하는 儒家의
    인간관을 비판한다. 장자가 유가를 비판하는 근거는 노자로부터
    영향을 받은 객관적인 자연 그리고 그러한 자연의 속성에 대한 이
    해에 근거한다. 그것은 노자철학에서의 ‘物’ 개념과 밀접히 연관된
    다. 여기서는 장자철학 인간관의 특별한 점들에 대해서 ‘物’ 개념
    에 기초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장자철학의 ‘物’ 개념을 연구하기 위해서 본문에서는 노자, 맹
    자, 그리고 장자철학 사이에 상존하는 서로 같고 다른 점들을 면
    밀히 분석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비교 분석 방법을 활용할 것이
    다. 본 논문은 장자철학 ‘物’ 개념의 함축적인 의미를 탐구할 것인
    데, 순차적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과정을 밟으면서 진행할 것
    이다: 1) 노자철학과 확연하게 구분되는 장자철학의 ‘物’ 개념을
    검토할 것이다; 2) 맹자철학 人性論과의 비교를 통해서 장자철학
    중 ‘物’ 안에 포섭되어 있는 ‘人’의 특징을 탐구할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작업은 장자철학의 ‘物’ 개념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 접근
    하기 위한 선행과제이다.
    ‘物’의 관점에서 바라본 장자철학 인간관의 두 가지 주요한 특
    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자철학의 주요 초점은 사회 전체를 관
    리하고 조정, 통제하는 중차대한 책임을 담당해야만 하는 군주 방
    면이 아니라, 개별자로서의 ‘物’의 측면에 있다. 이것은 중국 고대
    선진철학의 전통에서 ‘전체’로부터 ‘부분’으로의 사상적인 전환을
    의미한다. 둘째, 장자는 노자철학의 ‘상대주의적 인식론’으로부터
    생물학적 모델(biological model)로서의 유기체론(organicism)을 상정
    하고 있는 ‘상관적 사유’(correlative thinking)로 승화시키기 위해 노
    력한다. 이는 노자철학의 ‘상대주의적 인식론’이 장자철학에서 ‘상
    관적 사유’로 계승, 발전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장자철학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노자철학에서는 그래도 예외
    적으로 허용했던 無爲를 실현하기 위한 爲[爲無爲]를, 장자철학에
    서는 그러한 ‘爲’까지도 有爲로 간주하여 과감하게 빼 버린, 無爲
    그 자체에 있다.
    위에서 언급한 장자철학 인간관의 독특한 두 가지 관점은 儒家
    로 지목되는 맹자철학과는 물론이거니와, 같은 학파로 분류되는
    道家의 노자철학과도 구별되는 지점이다. 그러나 ‘절대적인 자유
    인’을 실현하고자 하는 장자의 계획은 자칫 어떠한 외부의 간섭과
    통제, 심지어는 善意에서 비롯한 타인의 따뜻한 손길마저도 뿌리
    침으로써 그만 ‘고립적인 자아’로 전락할 수 있는 문제를 떠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무한 욕망을 추구하는 인간의 특성을 간과하는
    측면이 있다. 이것이 ‘物’의 관점에서 바라본 장자철학 인간관의
    한계라고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Zhuangzi is an ancient Chinese philosopher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He is the philosopher after Laozi, and at the same time with of
    Mencius. Zhuangzi criticized the Human point of view in Confucian and
    Mencius’s philosophy. The reason to criticize Confucianism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nature, which is the concept of ‘thing’[物] in
    Laozi’s philosophy. This explains special features of the Human point of
    view in Zhuangzi’s philosophy based on the ‘thing’[物] concept.
    To study on the Human point of view based on the ‘thing’[物]
    concept in Zhuangzi’s perspective, a comparative analytic method is used
    to examine among Laozi, Mencius and Zhuangzi’s philosophy. This
    paper will explicate the connotative meaning of the ‘thing’[物] concept
    in Zhuangzi’s philosophy, which, 1) it examines Zhuangzi’s ‘thing’[物]
    concept that is differentiated from Laozi’s philosophy; 2) it looks into
    the characteristic of Zhuangzi’s philosophy based on the ‘man’[人] and
    ‘thing’[物], through comparing with ‘Human nature’[人性] view in
    Mencius’s philosophy. These are preceding work for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thing’[物] concept in Zhuangzi’s philosophy.
    Two special features are identified from the ‘thing’[物] concept view
    in Zhuangzi’s philosophy: 1) The main focus in Zhuangzi’s philosophy
    is not ‘ruler’[君主] part of holism but ‘thing’[物] part of individualization.
    This implies transposition of thought against world from ‘the
    whole’ to ‘a part’ on the Pre-Qin philosophy tradition in ancient China.
    2) Zhuangzi tries to sublimate the ‘relativistic perception’ into the ‘correlative thinking’ based on the idea of organicism with focus on
    biological model. This means that ‘relativistic perception’ in Laozi’s
    philosophy is further evolved to ‘correlative thinking’ in Zhuangzi’s
    philosophy. Like this, the ultimate goal of Zhuangzi’s philosophy is
    ‘wu-wei’[無爲].
    These two features present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point
    of view in Zhuangzi’s philosophy, which are differentiated not only from
    Mencius’s philosophy of Confucianism, but also from Laozi’s philosophy
    of Daoism. Yet, in Zhuangzi’s philosophy, the ‘absolute free man’ has a
    possibility to be changed to an ‘isolated man’ under his scheme. Also,
    Zhuangzi’s philosophy overlooks mankind’s characteristic, pursuit of
    infinite desires. This is a limitation in the Human point of view based
    on the ‘thing’[物] concept in Zhuangzi’s philoso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