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술자료를 활용한 배우 연구 방법에 대한 시론(試論) -아르코예술기록원 소장 배우 김동원 구술채록문과 관련 구술증언의 해석을 중심으로 (Critical Review of Research Methods of Actors Using Oral Statements: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Oral Records of Actor Dong-won Kim and Relevant Oral Statements Archived at the ARKO Arts Archive)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1.12
42P 미리보기
구술자료를 활용한 배우 연구 방법에 대한 시론(試論) -아르코예술기록원 소장 배우 김동원 구술채록문과 관련 구술증언의 해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연극학 / 1권 / 79호 / 5 ~ 46페이지
    · 저자명 : 백두산

    초록

    본고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기록원에서 생산한 연극배우 김동원의 구술채록문과 관련 구술증언 기록을 대상으로 한국의 근현대 배우 연구의 방법을 고찰하는 시론이다. 배우 구술채록문과 관련 구술증언은 자료부재의 빈틈을 메우고 배우의 생애를 중심으로 연기행위의 맥락, 공연상황, 배우 및 배우집단의 내면의식, 사회적 관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한 텍스트이다. 또한 해석의 과정에서 ‘자기이해’를 중심으로 생산된 에고다큐먼트이자 상황과 기억의 산물인 구술채록문으로서의 특성에 주의해야 한다. 같은 에고다큐먼트라 할지라도 편집을 통해 최종적으로 완성되는 자서전과는 달리 기억 및 면담상황에 관련되어 있는 구술채록문 안에는 해석이 필요한 모종의 ‘흔적’이 남게 된다.
    2장에서는 김동원의 구술채록문과 자서전의 교차분석을 통해 영화체험의 양상이 세 종류의 에고다큐먼트에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사실관계가 동일한 에고다큐먼트라 하더라도, 기억을 회고하는 과정에서 진술 당시의 자기이해에 따라 서사의 양상이 바뀌기에 구술채록문은 구술맥락과 면담상황을 고려하며 여타 문헌과 교차검토를 통해 해석해야 하는 대상이다. 3장에서는 반복을 통한 강조, 구술의 패턴화 경향을 분석하였다. 반복과 패턴화된 서사는 배우 구술채록문에서 심급의 경험 및 연기론과 이어진 것으로, 김동원의 경우 목소리와 발성-내면연기 사이의 딜레마 상황과 연기변신의 맥락이 드러나 있다. 4장에서는 구술채록문의 모호한 답변과 구술증언 및 관련자료의 종합을 통한 상황의 재구성 방법을 시도하였다. 채록문에 나타난 ‘자기이해’는 개인이 속한 배우집단의 관점을 드러내는 자료로도 다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상황의 재구는 ‘자기서사’의 구조에 숨겨진 맥락을 해석하는 방식으로 적극 활용될 수 있다. 김동원 구술채록문에서는 김동원/극단 신협과 유치진/드라마센터의 갈등관계와 드라마센터 개관작 <햄릿>(1962)을 둘러싼 극단 신협의 연극계 변화에 대한 인식과 세대교체의 징후에 주목하였다. 배우 구술채록문은 사실관계에 대한 경험적 진술로서의 가치뿐 아니라, 그 자체가 의미를 해석적으로 규명해야 하는 배우 연구의 자료로 다루어져야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research methods of modern Korean actors by focusing on the oral records and relevant oral statements of the stage actor Dong-won Kim, which were produced by the Arts Council Korea’s Arts Archive. The oral records and relevant oral statements of an actor are useful texts that can fill in the gaps in the materials and help understand the context of acting,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performance, and the inner consciousness and social relationship of an actor or a group of actors. In interpreting the materials, it is also important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s, which are ego-documents based on a sense of self-understanding and oral records based on situations and memory. Unlike autobiographies, which are also ego-documents but are completed through an editing process, oral records concern one’s memory and the circumstances of the interview and thus leave a certain “trace” that requires further interpretation.
    In Chapter 2, this study cross-analyzed Dong-won Kim’s oral records and autobiography to examine how the aspects of the movie experience differ in the three types of ego-documents. Even if they may be ego-documents with the replacements of the same facts or experiences, oral records had to be interpreted through a cross-examination with other materials in consideration of the oral context and the interview situation, since the aspects of the narrative are subject to change depending on the speaker’s self-understanding during the interview. In Chapter 3, this study analyzed the patterns of emphasis through repetition and the patterning of the oral narrative. Repetition and the narrative patterning were linked to the experiences and the acting methods found in the actor’s oral records. In the case of Dong-won Kim, they revealed his dilemma between his voice and vocalization and internal acting and the significance of his transformation in acting, which was possible through his performance in Death of a Salesman. In Chapter 4, this study attempted to reconstruct the situation of the performances by using the vague answers from the oral records, oral statements, and other relevant materials. The “self-understanding” found in the actor’s oral records should be treated as a material that demonstrates the perspective of a group of actors to which the actor belongs. The reconstruction of the situation of the performance through oral statements could be actively used to interpret the context of the oral records that are hidden within the structure of the “self-narrative.” Dong-won Kim’s oral records revealed the conflicts that existed between Dong-won Kim and his theater company Shinhyeop with Yoo Chijin and his Drama Center, as well as Shinhyeop’s perception of the changes in the theater scene surrounding Hamlet (1962), the opening work of the Drama Center, and the signs of a generational trans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oral records of an actor do not only carry the value as an experiential testimony of facts but should be considered as research material for studying actors that require interpretation of the text’s mean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연극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