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후반 김석문(金錫文)과 『역학도해(易學圖解)』의 발굴-황윤석(黃胤錫)의 『이재난고(頤齋亂藁)』를 중심으로- (Rediscovering Kim Seok-mun and Yeokhakdohae(易學圖解, Yixuetujie) in the late 18th century: Hwang Yun-seok’s Ijaerango)

5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17.12
59P 미리보기
18세기 후반 김석문(金錫文)과 『역학도해(易學圖解)』의 발굴-황윤석(黃胤錫)의 『이재난고(頤齋亂藁)』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57호 / 1 ~ 59페이지
    · 저자명 : 구만옥

    초록

    김석문의 『역학이십사도해(易學二十四圖解)』는 전통적 역학(易學)・상수학(象數學)과 서양의 천문역산학을 회통하여 새로운 우주론의 지평을 열고자 했던 저술이라고 평가된다. 오늘날 그의 저술과 행적에 대해서 가장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문헌은 황윤석(黃胤錫)의 『이재난고(頤齋亂藁)』이다. 『이재난고』에 수록된 김석문에 대한 정보는 양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도 여타의 문헌 자료를 능가한다. 이 글에서는 『이재난고』를 기본 자료로 삼아 황윤석이 『역학도해』에 접근하게 된 경위와 김석문에 관한 자료를 수집한 경로, 그리고 『역학도해』의 내용 가운데 황윤석의 관심을 끌었던 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역학이십사도해』의 모체가 되는 『역학도해』는 18세기 후반에 성효기(成孝基)・성대중(成大中)의 가문에서 보관하고 있었다. 황윤석은 성대중과 친분이 있던 정경순(鄭景淳)・정지순(鄭持淳) 형제와 김용겸(金用謙)을 매개로 하여 『역학도해』에 접근할 수 있었다. 그는 먼저 정경순을 통해서 1766년 4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약 10개월 동안 제1권을 제외한 『역학도해』 네 권을 빌려보았다. 1771년에는 자신이 근무하던 관청의 상관인 종실(宗室) 이련(李槤)의 아들 이명찬(李命贊)에게서 『역학도해』 전체 5권 가운데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제1권을 빌릴 수 있었다. 이 무렵 성대중의 집안에서 『역학도해』가 실전(失傳)될 것을 염려해서 그것을 이명찬에게 맡겼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련은 김석문의 아들인 김도해(金道海)의 사위였다. 이후 8년이 경과한 1779년 7월에 황윤석은 다시 김용겸으로부터 『역학도해』를 빌려서 8월까지 약 20일 동안 집중적으로 그 내용을 초록하면서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몇 차례의 집중적 검토를 통해 황윤석은 『역학도해』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었다.
    황윤석은 정경순을 통해 김석문에 대한 정보를 처음으로 입수한 이후 서울과 지방에서의 관직 생활을 통해 알게 된 포천(抱川) 지역 출신의 인물들과 김석문 집안사람들을 통해 김석문과 관련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정경순, 김용겸을 비롯해서 김원행(金元行), 백사은(白師殷), 김일묵(金一黙) 등이 김석문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황윤석에게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황윤석은 김석문에게 『역학이십사도해』를 출간하도록 독려한 사람이 그의 제자 황재중(黃在中)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김석문으로부터 성효기・성대중을 거쳐 이명찬으로 이어지는 『역학도해』의 전수 과정도 알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황윤석은 1779년 자신이 지방관으로 재직하던 목천(木川)에서 김석문의 스승인 허격(許格)에 대한 자료도 수집하였다. 이러한 정보에 기초해서 황윤석은 김석문의 행적과 학문적 위상을 종합적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10대 시절부터 주역점(周易占)에 관심이 많았던 황윤석은 김석문의 『역학도해』에 수록된 새로운 서점법(筮占法=筮法)에 주목하였다. 김석문은 대연수(大衍數)를 100으로 보았고, 49개의 시초(蓍草)로 점을 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선천(先天)48책(策), 선천(先天)100책(策), 후천(後天)49책(策)의 새로운 방식을 창안하였다. 또한 시초의 재료로는 북부 지방의 바다에서 산출하는 용편초(龍鞭草=龍鬚木)를 사용했다. 황윤석은 김석문의 율력산수지학(律曆算數之學)에도 지대한 관심을 기울였지만, 만년에 이르러 더욱 흥미를 보인 분야는 서법(筮法)이었다. 황윤석은 그의 나이가 50대에 접어든 1779년 7월 무렵부터 김석문의 서법에 본격적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고, 몰년에 이르기까지 이를 활용해서 다양한 점을 쳤다.

    영어초록

    Kim Seok-mun’s Yeokhakisipsadohae is considered to open a new cosmology, combining the teachings of traditional I-ching studies, xiangshuxue(象數學) and astronomy and calendrical science of the West. One book that contains the most various information on him and his work is Hwang Yun-seok’s Ijaerango(頤齋亂藁). By reading Ijaerango, this paper explores how Hwang approached to Yeokhakdohae and collected information on Kim Seok-mun, and discusses major themes of Yeokhakdohae that drew Hwang’s attention.
    Yeokhakdohae, from which Yeokhakisipsadohae stemmed, was in the custody of Seong Hyo-gi and Seong Dae-jung’s family in the late 18th century. Hwang was able to get access to the book through the Jeong brothers(Gyeong-sun and Ji-sun) and Kim Yong-gyeom, who were friends with Sung Dae-jung. First, Hwang borrowed four volumes of Yeokhakdohae except vol. 1 during a 10 months period between April 1766 and February 1767 through Jung Gyeong-sun.
    In 1771, Hwang borrowed the essential volume 1 of Yeokhakdohae from Yi Myeong-chan, who was a son of a royal family member, Yi Ryeon. That was possible because the Seong family, in worrying about loss, bestowed Yeokhakdohae to Yi Myeong-chan. Yi Ryeon was a son-in-law of Kim Do-hae, the son of Kim Seok-mun. Eight year passed and Hwang again borrowed Yeokhakdohae from Kim Yong-gyeom in July, 1779, and analyzed it intensively for 20 days. Now, after several accesses to the book, Hwang had a clear grasp of the essence of Yeokhakdohae.
    Hwang first collected information about Kim Seok-mun from Jeong Gyeong-sun, and later from people of Pocheon region he got acquainted with during his days in the office and also from the family members of Kim Seok-mun. Kim Won-haeng, Baek Sa-eun, and Kim Il-muk, as well as Jeong Gyeong-sun and Kim Yong-gyeom, offered numerous information about Kim Seok-mun. Hwang verified that Kim’s pupil Hwang Jae-jung encouraged him to publish Yeokhakisipsadohae, and also realized the passage of Yeokhakdohae from Kim Seok-mun to the Seong family and then to Yi Myeong-chan. Moreover, Hwang Yun-seok collected intelligence on Heo Gyeok, Kim Seok-mun’s master, in Mokcheon region where he served as an regional officer. With all sources he gathered, Hwang was able to analyze Kim Seok-mun’s achievements and academic position comprehensively.
    Hwang, who was much interested in I-ching divination from the early days, paid special attention to a new procedure of divination using milfoil stalks in Kim Seok-mun’s Yeokhakdohae. Kim considered 100 as dayanshu(大衍數) and created a new ways of divination using 48, 100, 49 milfoil stalks instead of using conventional 49 stalks. He used ryongpyeoncho(龍鞭草) from Hamgyeong-do for the raw material for the stalks. Hwang also showed much interest in Kim’s lüli suanshu zhi zue(律曆算數之學, study on harmonics, calendar, and mathematics), but his most devoted field of study was divination using milfoil stalks. As he approached his 50s in 1779, Hwang began studying Kim’s divination in good earnest, and told fortunes using it toward the end of his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