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적 공간으로서의 ‘遼東’과 고구려의 國際秩序 인식 -「廣開土王碑」文에 보이는 국제질서 인식의 역사적 배경- (Liaodong as a historical space and the Goguryeo’s Perception of International Order: Historical Background on the Perception of International Order in Gwanggaeto Stele Inscription)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19.09
42P 미리보기
역사적 공간으로서의 ‘遼東’과 고구려의 國際秩序 인식 -「廣開土王碑」文에 보이는 국제질서 인식의 역사적 배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95호 / 33 ~ 74페이지
    · 저자명 : 안정준

    초록

    이 글은 5세기 초반 고구려의 통치 이념과 國際秩序 인식을 검토하였다. 크게 두 가지 점에 주목하였는데, 첫째, 고구려가 5세기 초반에 요동과 한반도 일대까지 영역을 확장한 뒤 이를 근거로 새로운 통치 이데올로기를 구상했다면, 이는 단순히 고구려 왕족과 지배층뿐만 아니라, 새롭게 편입된 韓·穢人과 夫餘人, 그리고 漢人을 포함한 영토 내의 다양한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했을 것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표방했던 통치 이데올로기는 數世紀 동안 존재했던 전통적인 통치자(통치기구)의 歷史像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는 것이었고, 이는 한반도와 요동 일대의 주변 세력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국제질서인식을 표방하는 과정에서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둘째, 400년경 고구려가 확보했던 요동과 한반도 일대는 기존에 邊郡 통치기구들의 정치·경제·문화적 영향력이 강하게 미쳤던 곳이었다. 이 통치기구들은 전통적으로 군현 주민에 대한 지배권뿐만 아니라, 주변 東夷 諸勢力을 대상으로 朝貢과 官號·印綬·衣幘의 賜與 등으로 상징되는 관할권을 지녔다. 이러한 통치기구들의 역사적 위상과 상징성은 요동과 한반도의 주민들, 그리고 東夷 諸勢力들에 의해서도 뚜렷하게 인지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서기 400년 이후 요동의 새로운 대표 세력으로 자리매김했던 고구려의 대외인식과 전략에도 큰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본고에서는 먼저 ‘요동’의 공간 범위 형성과 그 지역에 설치된 통치기구들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특히 후한말 이후 公孫氏 등 독자세력이 요동과 한반도에 걸친 지역에 웅거하면서 전통적인 통치기구의 권위와 상징성을 어떻게 활용했는지를 주목하였다. 또한 「광개토왕비」문의 영락 5년조에서 고구려가 요동을 巡狩했다는 기사는 실상보다 과장된 내용으로서 고구려가 옛 邊郡 통치기구의 전통적인 권위를 대체했음을 드러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배치했다는 점, 그리고 辛卯年條 전후의 문장과 永樂 8년조의 군사 활동이 갖는 역사적 명분 역시 요동 확보를 근거로 한 역사적 권위를 토대로 했을 것이라는 점 등을 밝히고자 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ruling ideology and perception of international order of Goguryeo in the early 5th century. Two points were noted. The first point is that if Goguryeo extended its territory to the region of Liaodong and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y 5th century and envisioned a new ruling ideology based on it, it would have targeted various members of territories, including not only royal family and the ruling class of Goguryeo, but also newly incorporated Han(韓), Ye(穢), and people of Buyeo(夫餘) and Han(漢). The ruling ideology for them could not completely exclude the historical image of the traditional rulers (ruling organization) that existed for centuries, and so did the process of claiming new perception of international order to the surrounding force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Liaodong region.
    The second point is that Liaodong and the Korean Peninsula secured by Goguryeo around 400 were under the strong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influences of ruling organizations of peripheral commandery(邊郡) over the centuries. These organizations traditionally had jurisdiction over surrounding various powers of Dongyi(東夷), symbolized by tribute(朝貢) and the bestowment of official title(官號), seal and strap(印綬), and uniform and hat(衣幘), as well as control of the inhabitants of Gunhyeon(郡縣).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the historical status and symbolism of these organizations were recognized by the inhabitants of Liaodong and the Korean Peninsula and various powers of Dongyi. This is thought to have great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international issues and strategy of Goguryeo, which was established as the new representative force of Liaodong since 400 AD.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issues, this paper first reviewed the formation of the spatial range of Liaodong and the history of the ruling organizations established in the region. This paper particularly focuses on how independent powers such as Gongson’s Family(公孫氏) used the authority and symbolism of traditional ruling organizations as they held and defended Liaodong and the Korean Peninsula. This paper makes two assumptions. First assumption is that the article which showed Goguryeo’s Sunsu(巡狩) to Liadong in the article of the 5th year of Yeongnak was exaggerated, and it was intentionally arranged to reveal that Goguryeo replaced the traditional authority of the old ruling organization of peripheral commandery. The second one is that the historical justification of the sentences appeared around the article of Sinmyo year(辛卯年條) and the military activity in the article of the 8th year of Yeongnak was also based on the historical authority based on the securing of Liad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