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孟子』 해석에 나타난 正祖의 사유 경향 분석 -『孟子講義』 御製條問 및 條對와 『鄒書春記』의 問答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the Peculiarities of Jôngjo’s Thoughts –centered upon the two texts of Maengjagangui and Chusôchungi–)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09.11
49P 미리보기
『孟子』 해석에 나타난 正祖의 사유 경향 분석 -『孟子講義』 御製條問 및 條對와 『鄒書春記』의 問答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사상 / 34호 / 167 ~ 215페이지
    · 저자명 : 백민정

    초록

    본 논문은 정조의 개인 문집인 『弘齋全書』 가운데 『經史講義』, 그
    중에서도 『孟子講義』를 통해 『맹자』에 대한 정조의 사유 경향이 어떠했는
    지 분석한 글이다. 『맹자강의』에 등장하는 다양한 정조의 條問과 이에 답한
    초계문신들의 條對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당시 군왕을 비롯한 지식인들이 『
    맹자』를 둘러싸고 어떤 철학적 논쟁을 벌였는지 고찰해 보았다. 한편 정조
    는 1800년 閣臣 金近淳과 『맹자』에 관해 독대한 내용을 담은 『鄒書春記』라
    는 책을 만들었는데, 김근순의 질문에 답한 정조의 답변 내용이 소상하게
    기록된 이 저작을 통해 말년의 정조 맹자관을 잘 엿볼 수 있다. 그런데 『
    맹자강의』와 『추서춘기』에서의 정조 관점은 의외로 이질적인 경우가 많았
    는데, 왜 이러한 관점의 차이가 발생했는지 본론에서 해명하고자 했다. 가
    령 맹자의 고유한 정치관인 왕도정치론, 정전제 문제 등에 대해 정조는 회
    의적인 견해를 피력하기도 했고, 당시 제후들에 대한 맹자의 처신에 대해서
    도 매우 강경한 어조로 비판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맹자의 인성론
    및 수양론 문제에 있어서는 맹자 발언을 극히 존중하는 가운데, 이후의 주
    희 『맹자집주』 해석을 중심으로 문신들과 치열한 논쟁을 전개하기도 했다.
    따라서 두 텍스트의 차이뿐만 아니라 『맹자』의 주제별 차이에 따라서도 정
    조의 『맹자』에 대한 이해가 상이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into the peculiarities of Jôngjo’s
    though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wo texts. The first text is
    Maengjagangui(孟子講義), which is representative of Jôngjo’s early
    interpretation of Maengja(孟子). The second text is Chusôchungi(鄒
    書春記), which is representative of Jôngjo’s late interpretation of
    Maengja(孟子). Interestingly, Jôngjo’s early attitude toward Maengja
    (孟子) was minutely different from his late attitude. This paper
    concentrates upon these philosoph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ttitudes. In his early thoughts, Jôngjo was opposed to Maengja’s
    political and economical thoughts, such as the doctrines of
    Wangdojôchi(王道政治) and Jôngjôn(井田). He criticized Maengja for
    the conduct of his life during the period of the Warring states.
    However, this critical attitude had been changed as time passed.
    However the important point was that Jôngjo continued to praise
    Maengja for the his philosophical doctrines of human nature and
    self-cultivation. An extreme case was that Jôngjo discussed Juhui_
    (朱熹)’s Maengjajibju(孟子集註) with the scholars of the era.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culiarities of Jôngjo’s thoughts, it is
    necessary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various philosophical topics
    of Maengja(孟子) on the basis of reading into these two tex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3 오전